경향신문

배추보다 비싸진 양배추, 한 포기 6000원 넘겨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배추보다 비싸진 양배추, 한 포기 6000원 넘겨

제주 한림읍의 한 밭에서 농민들이 양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 한림읍의 한 밭에서 농민들이 양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양배추의 평균 소매가격이 배추보다 비싸진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양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6121원으로, 지난해 3월 평균 소매가격(4095원) 대비 49.5% 뛰었다. 이달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5506원)도 1년 전보다 약 50% 비싼 수준이지만, 양배추가 600원 이상 비싸다.

양배추는 이상기후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겨울 양배추 생산량은 12만2000t으로, 1년 전보다 6% 줄었다. 평년(지난해까지 5년간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과 비교해서는 17% 감소했다. 농경연은 “지난해 겨울 양배추 정식(아주심기) 시기(8∼9월)에 너무 더웠다”며 “지난 2월에는 추웠으며 최근엔 비가 많이 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공급 감소로 가격이 뛰면서 수입도 급증했다. 지난달 양배추 수입량은 5839t으로 1년 전(413t)의 14배에 이른다.

무·당근 등 다른 월동채소 가격도 크게 오른 수준이다. 무는 한 개에 3000원을 웃돌면서 지난해보다 1000원 넘게 비싸졌다. 이달 평균 소매가격은 3112원으로 1년 전보다 66% 올랐다. 당근도 1㎏에 5696원으로 지난해보다 27% 상승했다.

채소 가격 고공행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봄배추, 무가 출하되기 시작하는 4월 말까지는 가격이 높겠지만 그 이후에는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