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한림읍의 한 밭에서 농민들이 양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양배추의 평균 소매가격이 배추보다 비싸진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양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6121원으로, 지난해 3월 평균 소매가격(4095원) 대비 49.5% 뛰었다. 이달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5506원)도 1년 전보다 약 50% 비싼 수준이지만, 양배추가 600원 이상 비싸다.
양배추는 이상기후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겨울 양배추 생산량은 12만2000t으로, 1년 전보다 6% 줄었다. 평년(지난해까지 5년간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과 비교해서는 17% 감소했다. 농경연은 “지난해 겨울 양배추 정식(아주심기) 시기(8∼9월)에 너무 더웠다”며 “지난 2월에는 추웠으며 최근엔 비가 많이 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공급 감소로 가격이 뛰면서 수입도 급증했다. 지난달 양배추 수입량은 5839t으로 1년 전(413t)의 14배에 이른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무·당근 등 다른 월동채소 가격도 크게 오른 수준이다. 무는 한 개에 3000원을 웃돌면서 지난해보다 1000원 넘게 비싸졌다. 이달 평균 소매가격은 3112원으로 1년 전보다 66% 올랐다. 당근도 1㎏에 5696원으로 지난해보다 27% 상승했다.
채소 가격 고공행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봄배추, 무가 출하되기 시작하는 4월 말까지는 가격이 높겠지만 그 이후에는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