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내달 라면·맥주·유제품까지…가공식품 줄줄이 오른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내달 라면·맥주·유제품까지…가공식품 줄줄이 오른다

식품업체 “원재료 가격 탓 불가피”

경쟁업체 도미노 인상 이어질 듯

정국 어수선 틈타 기습인상 의심도

가격에 눈길, 떨이에 손길 서울시내 할인마트의 세일코너에서 23일 한 소비자가 양배추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양배추 평균 소매가는 6121원으로 배추(5506원)보다 비싸다. 연합뉴스

가격에 눈길, 떨이에 손길 서울시내 할인마트의 세일코너에서 23일 한 소비자가 양배추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양배추 평균 소매가는 6121원으로 배추(5506원)보다 비싸다. 연합뉴스

라면에 이어 맥주, 유제품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식품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결정이라고 호소하지만 소비자 부담 증가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매일유업은 다음달부터 제품 51종 가격을 평균 8.9% 인상한다.이에 따라 커피음료 중 바리스타 룰스(250㎖) 가격은 3.6%, 허쉬드링크 초콜릿(190㎖)은 11.8% 오른다. 스트링치즈 플레인과 매일두유 검은콩(190㎖)은 각각 7.4%, 10.5% 인상된다. 다만 매일유업은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유통채널별로 인상 시점을 달리 적용할 예정이다.

매일유업 측은 “지속적인 원부자재 가격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커진 데 따른 가격 조정”이라며 “인상 품목과 인상폭은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오뚜기도 다음달 라면 16개 품목 가격을 평균 7.5% 올린다. 진라면 봉지면은 716원에서 790원으로 10.3%, 용기면은 1100원에서 1200원으로 9.1% 조정됐다.

농심은 지난 17일부터 신라면 등 17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출고가를 평균 7.2% 올렸다. 소매점 가격 기준으로 신라면은 기존 950원에서 1000원으로 5.2% 올랐다. 너구리와 안성탕면, 짜파게티도 각각 4.4%, 5.4%, 8.3% 인상됐다.

맥주 가격도 오른다. 오비맥주는 다음달 1일부터 카스 500㎖ 캔 제품을 제외한 국산 맥주 출고가를 평균 2.9% 인상할 계획이다. 다만 마트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카스 500㎖ 캔 제품은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카스는 국내 맥주 점유율 1위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고환율·고유가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각종 원부자재 비용 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도미노 인상이다. 한 업체가 제품 가격을 올리면 경쟁업체 등도 잇따라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는 것이다. 소비자 부담도 커진다.

일각에서는 최근 줄잇는 식품 인상 분위기를 탄핵정국 탓으로 보기도 한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시국이 어수선하다보니 물가에 대한 정부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타 하나둘 기습적으로 가격 인상에 나서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