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에 와보셨나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에 와보셨나요?

  • 정성후 전 MBC 시사교양 PD

샛강에 봄이 오고 있습니다. 곧 곱고 여린 연둣빛 잎새들이 나뭇가지를 뚫고 올라와 샛강은 초록의 쉼터가 될 것입니다.

지난해 봄, 딸이 샛강생태공원에서 웨딩 사진을 찍었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첫 커플이라고 들었습니다. 여의도와 신길동을 잇는 샛강다리에 서면 샛강 공원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딸이 출근길, 햇살이 퍼지는 샛강 숲을 보고는 가까운 곳에 보석을 두고 몰랐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여의도로 이사 온 지 5년이 되어갑니다. 샛강생태공원을 마당 삼아 사는 즐거움이 참 큽니다. 샛강은 정말 잘 관리된 자연 그대로의 생태공원입니다. 관리된 곳이 어떻게 자연 그대로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습니다. “꾸안꾸 자연!” 제가 샛강에 붙여준 별명입니다. 꾸민 듯 꾸미지 않은 아름다운 곳이니까요.

서울시가 오랫동안 그냥 내버려두었던 샛강은 가시박, 환삼덩굴 등 생태교란 식물로 뒤덮인 쓰레기 범벅의 땅이었습니다. 6년 전 이곳에 한 시민단체가 둥지를 틀고 활동을 시작합니다. 가시박과 환삼덩굴을 제거하고 쓰레기를 치웠습니다. 뜻을 같이하는 시민들이 모이고 따뜻한 공동체가 만들어졌습니다. 그 덕에 저는 혼란이 정리된 아름다운 생태공원을 접할 수 있었던 겁니다.

이 “꾸안꾸 자연” 뒤에는 많은 정성과 노력이 깃들어 있다는 사실을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게 됐습니다. 저도 이 단체에 가입했고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삶이 풍요로워졌습니다. 그리고 이 행복은 샛강이 있는 한 계속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서울시 안의 한강 생태공원은 모두 다섯 군데입니다. 그동안 다섯 시민단체가 하나씩 민간위탁을 받아 생태공원을 관리해왔습니다.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은 사회적협동조합 ‘한강’이 맡아 6년간 관리를 해왔습니다. 3년에 한 번씩 새롭게 민간위탁기관 선정 심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번에는 개별모집을 하지 않고 한강 남측 3개, 북측 2개 이렇게 두 권역으로 나눠 모집공고를 했다고 합니다. 심사의 주체는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입니다.

모두 한 단체가 협상 1순위자로 선정됐습니다. 이변이 없는 한, 4월부터는 이 단체가 서울시의 모든 한강 생태공원을 위탁 관리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단체는 생태공원 관리 경험이 전혀 없는 곳이고, 숲 해설사를 양성하는 기관에 가깝습니다.

이번 심사에서는 공원 관리 항목은 배점이 없었고 시행할 프로그램 중심으로 심사를 했습니다. 관리가 안 된 공원에서 숲 해설이라니요? 물론 새로 맡은 업체가 잘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잘해온 단체를 굳이 몰아내고 불확실성이 가득한 단체에 한강 생태공원을 모두 맡긴다는 건 도박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결정의 기저에 오세훈 서울시장의 ‘그레이트 한강’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미래한강본부는 오 시장의 한강 관련 정책을 수행하는 조직이니까요. 하지만 진정 ‘위대한 한강’을 위해서는 한강 생태공원이 제대로 관리되는 것이 기본일 겁니다. 자연의 생태가 망가지는 것은 한순간이지만 회복에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 그 결과는 서울시민들이 오롯이 감당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걸까요? 한강 생태공원이 건강해야 한강도 건강하고 서울시민도 행복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정성후 전 MBC 시사교양 PD

정성후 전 MBC 시사교양 PD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