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대 3명·공무원 1명 사망
부상 대원 5명은 병원 치료 중
“보호장비 무용지물” 주장도
경남 산청 산불 화재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벌이던 창녕군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 3명과 창녕군 공무원 1명이 사망했다. 사망한 대원들에게 지급된 장비와 구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23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3시쯤 산청군 시천면 화재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벌이던 진화대원 8명과 인솔 공무원 1명이 불길에 고립됐다. 이들은 순간적으로 강하게 분 역풍에 불이 확산되면서 불길 속에 갇힌 것으로 추정됐다.
구조대원이 투입돼 중·경상자 5명을 구출해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오후 5시쯤 산 중턱에서 진화대원 2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수색작업 끝에 오후 8시쯤 진화대원 1명과 인솔 공무원 1명의 시신이 추가로 발견됐다.
숨진 진화대원 3명은 60대, 공무원은 30대다. 함께 출동했던 대원 5명은 부상을 당해 치료받고 있다. 희생자들은 창녕서울병원으로 이송된 뒤 장례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합동분향소는 24~27일 창녕군민체육센터에서 운영된다.
극적으로 하산한 생존자 가족은 장비 등에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생존자 A씨의 가족은 “방염복은 지급하지도 않고, 불구덩이에 집어넣어 보호장비가 모두 무용지물이었다”고 주장했다. 산청군은 “대원들에게 방염이 되는 진화복을 지급했다”고 해명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남지역본부는 “안전기준을 고려해 대원을 투입해야 하는데 초기 진화에 급급해 무리하게 투입해서 발생한 사고라는 의구심이 든다”며 “사고를 ‘중대재해’로 규정해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소방본부 관계자는 "당시 현장에 출동을 했지만 불이 많이 나 진입은 어려웠다"며 "헬기로 물을 계속 뿌리며 진화를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