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조세·복지제도 통한 소득 재분배’ 한국, OECD 28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조세·복지제도 통한 소득 재분배’ 한국, OECD 28위

윤 정부 긴축에 더 나빠질 듯

조세와 복지제도를 통한 한국의 소득재분배 기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의 긴축재정과 감세정책으로 소득재분배 기능이 약화된 탓에 순위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OECD 통계자료를 보면 2022년 기준 한국 세전·세후 지니계수 개선율은 18.2%로 통계가 발표된 31개 회원국 중 28위를 기록했다. 31개국 평균은 31.9%였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경제적 지표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 불평등이라는 의미다. 세전·세후 지니계수 개선율은 세금 등을 떼기 전 기준인 ‘시장소득 지니계수’, 조세와 정부 이전소득 등 복지제도를 통한 소득재분배 이후인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를 비교해 산출한다. 개선율이 높다는 것은 특정 국가의 세금·연금·복지 등 소득재분배 정책이 불평등을 줄이는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의 2022년 시장소득·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각각 0.396과 0.324였다. 시장소득의 불평등 정도는 31개국 중 2번째로 양호했지만, 가처분소득으로 지니계수를 평가한 결과 20번째로 하락했다.

2022년 개선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벨기에로 48.0%였고, 핀란드(46.5%)·프랑스(43.3%)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보다 아래는 코스타리카(11.6%)·칠레(8.8%)·멕시코(3.8%) 등 3개국뿐이었다.

한국의 개선율 절대치는 점차 나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른 국가들의 개선율도 꾸준히 오르며 한국의 순위는 눈에 띄게 개선되지 못했다.

한국의 개선율 순위는 2023년 이후 더 떨어졌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가 ‘건전재정’을 기치로 내걸고 문재인 정부에서 늘어난 총지출 증가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등 긴축재정 기조를 고수했기 때문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