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양치해도 남아있는 ‘이것’··· 서서히 침투해 뼈까지 무너뜨린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양치해도 남아있는 ‘이것’··· 서서히 침투해 뼈까지 무너뜨린다

치주질환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치주조직과 달리 치은(잇몸)과 치조골(잇몸뼈) 등으로 염증이 확산된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치주질환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치주조직과 달리 치은(잇몸)과 치조골(잇몸뼈) 등으로 염증이 확산된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치아를 지탱하는 기초인 잇몸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염증으로 잇몸뼈가 녹아내리고 치아를 상실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평소 꼼꼼한 양치질과 정기적인 스케일링으로 치아와 잇몸 주변을 깨끗이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은과 치주인대, 치조골 등 치아 주변 조직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흔히 ‘풍치’라고도 한다. 초기에는 단순한 잇몸 염증으로 시작된다.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되는데, 비교적 간단히 치료 가능한 치은염은 염증이 잇몸에 국한된 상태를, 치주염은 염증이 잇몸뼈까지 확산된 경우를 가리킨다. 권소연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치주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잇몸 출혈과 붓기”라며 “양치질할 때 피가 나거나 잇몸이 붓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치은염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은 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플라크(세균막)다. 플라크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단단한 치석으로 변해 잇몸 염증을 유발한다. 플라크와 치석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 있는 치은열구라는 좁은 틈을 따라 침투하면 염증이 심화된다. 염증이 잇몸뼈까지 진행되면 치주낭이 형성되고 치아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는 뼈가 소실되면서 발치해야 하는 상황까지 이를 수 있다. 또 지속적인 구취와 잇몸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심하면 씹을 때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밖의 원인으로는 당뇨병, 임신, 영양 부족, 흡연 등도 치주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치주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한다. 치주낭의 깊이와 치조골의 상태를 확인해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미생물 검사나 면역 검사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치료는 세균성 플라크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기본이다. 가벼운 치은염은 올바른 양치질과 스케일링만으로도 충분히 개선될 수 있지만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 치주낭 깊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치주염을 치료할 땐 치근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치근활택술, 국소 항생제 투여 등을 시행하며, 증상이 심하면 잇몸을 절개해 염증 조직을 제거하는 치주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치조골 손상까지 심할 경우 인공 뼈를 이식하는 골 이식술이나 특수 막을 이용해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촉진하는 조직 재생 유도술 등의 추가적인 치료를 할 수도 있다. 다만 수술적 치료는 적용 대상이 제한적이고 수술 과정에서 상당한 통증이 동반된다. 치아가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엔 치아 고정술로 남아 있는 치아를 보호할 수도 있으며, 임플란트 치료도 하나의 선택이 될 수 있다.

권소연 교수는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구강 관리가 필수로, 식사 후와 취침 전 꼼꼼한 양치질을 습관화하고 치실과 치간 칫솔을 활용해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이 관리해야 한다”며 “치주질환은 한 번 진행되면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플라크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