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개인 AI 에이전트 ‘에스터’ 협력 방향.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최적화 전문 스타트업 ‘투게더 AI’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고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24일 밝혔다.
투게더 AI는 AI 클라우드 및 오픈소스 전문 기업이다. 202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설립돼 최근 3억5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주요 서비스는 AI 오픈소스를 활용한 추론과 파인튜닝, 엔비디아와의 협력에 기반한 저비용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 구축 등이다. AI 효율화 분야에서는 줌, 워싱턴포스트, 세일즈포스 등의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SK텔레콤은 투게더 AI의 역량을 활용해 북미 시장 진출을 앞둔 글로벌 개인 AI 에이전트(비서) ‘에스터’와 거대언어모델(LLM), GPU 효율화에 힘쓸 예정이다.
투게더 AI가 보유한 GPU 연산 효율화 기술 등을 활용하면 AI 모델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초기 GPU 투자비와 운영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자체 LLM인 에이닷엑스(A.X), AI데이터센터 등 AI 영역 전반에서도 추가 사업 협력 아이템과 시너지 창출 기회를 찾을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지난 2년 동안 독자적인 기술을 가진 AI 스타트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AI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이는 협업을 지속해왔다. 오픈AI의 대항마로 꼽히는 앤스로픽, AI 기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플렉시티, AI 영상 기술력을 보유한 트웰브랩스와의 협업이 주요 사례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특히 앤스로픽과 퍼플렉시티는 SK텔레콤 투자 후 기업 가치가 3배 이상 상승했다. 1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 앤스로픽과는 생성형 AI 클로드에 SK텔레콤의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시킨 ‘텔코 LLM’부터 에스터까지 전방위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퍼플렉시티와는 에이닷 등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협업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달 초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공개한 ‘AI 피라미드 2.0’ 전략에 기반해 국내외 AI 산업 흐름에 맞춘 투자 협력으로 글로벌 AI 업계에서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