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국산 ‘LMO 감자’ 수입 가시화에 정치권·농민단체 등 거센 반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국산 ‘LMO 감자’ 수입 가시화에 정치권·농민단체 등 거센 반발

감자. 경향신문 자료사진

감자. 경향신문 자료사진

농촌진흥청의 ‘위해성 적합’ 판정으로 미국산 ‘LMO 감자’의 국내 수입이 가시화되자 정치권과 농민단체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먹거리 불안이 커지고 농민 생존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LMO 감자 수입 승인 절차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농진청은 미국 심플로트사의 LMO 감자(SPS-Y9)에 대한 ‘작물재배 환경 위해성 협의 심사 결과서’를 지난달 21일 심사 주관기관인 식약처에 통보했다고 24일 밝혔다.

농진청은 결과서에서 “SPS-Y9가 (식용 목적이 아닌 재배 등 목적으로) 비의도적으로 방출되더라도 국내 작물재배환경에 위해를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적었다. 농진청은 과학적 근거에 따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LMO 위해성 심사위원회에서 미국산 LMO 감자의 유전자가 다른 생물체로 이동하는 유전자 이동성, 잡초화 가능성, 주변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두루 심사했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의 이번 결정으로 미국산 LMO 감자의 수입 절차는 마지막 관문인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체 안전성 검사만 남겨 두게 됐다. LMO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생물체 또는 농산물(GMO) 중에서 생식·번식 능력이 있는 생물체 또는 농산물을 의미한다. 재생산이 가능해 종자용으로 쓰일 수도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만일 식약처의 안전성 검사를 통과하면 미국산 LMO 감자는 대부분 가공식품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며 “감자튀김이나 감자칩 등 제품으로 판매될 때는 포장지에 ‘유전자변형생물체’로 표기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산 감자의 첫 국내 수입으로 국내 감자 산업과 농업계가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는데다, 식당에서 표기 의무가 없고 미국산 감자 원물이 국내에서 재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각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GMO반대전국행동, 농민의길, 전국먹거리연대 등 시민·농민단체는 이날 국회에서 ‘GMO 감자 수입 승인 절차 철회’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 건강한 식탁을 보장하고, 농민들이 지속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먹거리 불안도 커지고 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회견에서 “2018년 심플로트사에서 LMO 감자를 개발한 과학자가 ‘검은 반점이나 발암물질을 줄이는 대신 독성을 축적하는 문제가 있다’고 밝힌 만큼 안전성 심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성분 표기를 하지 않아도 되는 식당에서 식자재로 쓸 경우 우리 아이들이 원하지 않는 (유전자 변형) 음식을 먹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순중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정책위원장은 “안전성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는데도, 미국의 통상 압박에 굴복해서 수입을 추진하려는 것”이라며 “식량주권과 먹거리 안전이 걸린 중대사인 만큼 정부는 반드시 국민 다수의 의견을 듣고 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