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은, ‘디지털화폐’ 실험 참가해보세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은, ‘디지털화폐’ 실험 참가해보세요

입력 2025.03.24 16:43

4월 1일부터 은행 앱에서 신청

실험 기간 중 500만원 한도

한은, ‘디지털화폐’ 실험 참가해보세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을 통해 디지털화폐 실거래 실험 참가자 모집을 시작한다. 참가자는 한국은행 디지털화폐를 기반으로 시중은행이 발행한 ‘예금 토큰’을 지정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쓸 수 있게 된다.

한은은 25일부터 디지털화폐 실험 ‘프로젝트 한강’ 일반 이용자 사전 모집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다음달 1일부터 6월30일까지 진행될 이번 실험에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BNK부산 등 7개 은행이 참여한다.

이들 은행 중 한 곳에서라도 수시입출식 예금 계좌가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라면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모집 인원은 최대 10만명이며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은 각 1만6000명, 기업·부산은행은 각 8000명씩 선착순 모집한다.

일반 이용자들은 다음달 1일 오전 10시부터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전자지갑을 받을 수 있다. 전지지갑 발급 뒤 자신의 계좌 예금을 예금 토큰으로 바꿀 수 있다. 한은은 실험이라는 점을 고려해 예금 토큰 보유 한도는 100만원, 실험 기간 중 총 전환 한도는 500만원으로 설정했다. 건당 거래 한도는 별도로 정해지지 않았다.

예금 토큰은 지정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물품·서비스 구매 시 QR코드 결제 방식으로 쓸 수 있다. 사용처 중 오프라인 상점은 교보문고·세븐일레븐·이디야커피·농협 하나로마트 6개점, 온라인 쇼핑몰은 현대홈쇼핑, 모드하우스, 땡겨요다. 6월30일 실험 종료 후 예금 토큰 잔액은 이용자의 예금 계좌로 입금된다.

한은은 디지털 바우처 프로그램과 연계된 실거래 실험도 4~5월 중 시작한다. 은행들이 예금 토큰에 디지털 바우처 기능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20~23세)이 연극·무용 등 순수예술공연을 볼 수 있도록 한 서울시 바우처, 학부모가 교육용품을 살 수 있도록 한 대구시 바우처, 신입생이 대학 내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신라대 바우처 등이 실험 대상이다.

김동섭 한은 디지털화폐기획팀장은 “일반 이용자 입장에선 기존 간편결제와 다른 점이 없다고 느낄 수 있지만, 디지털화폐 인프라와 이에 기반한 혁신 서비스를 미리 체험해본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암호자산, 스테이블코인 등 토큰 기반 대안적 상품들의 혁신성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은행들이 보다 안전한 제도적 틀에서 새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디지털화폐 인프라를 만든다는 측면으로 봐달라”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