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탄핵 지연에 다시 오르는 환율…국내 금융시장은 언제쯤 안정될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탄핵 지연에 다시 오르는 환율…국내 금융시장은 언제쯤 안정될까

입력 2025.03.24 17:00

서울역 대합실에서 24일 시민들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 특보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서울역 대합실에서 24일 시민들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 특보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최근 국내 금융시장이 여전히 정치적 불확실성에 출렁이고 있다.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경기 부양책도 지연되면서 더욱 주춤한 모양새다. 반도체 종목이 그나마 선전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일정이 늦춰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다시 고점을 위협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4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5원 오른 달러당 1467.7에 주간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1월 3일(1468.4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 지수도 전장보다 11.06포인트(0.42%) 내린 2632.07로 엿새 만에 하락마감했다.

이날 금융시장 약세는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 기각 결정이 주로 작용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일정이 나오지 않은 탓에 불안 심리가 커진 영향이다.

특히 원·달러 환율은 강달러 현상에 주춤하는 것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최근 103~104 수준으로 지난 1월 고점 대비 5% 넘게 하락했다. 그러나 원화는 이달 들어 달러당 1450원선에서 내려오지 못하고 있다. 시장에선 정치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꼽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정치 리스크가 일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시장에 유입됐지만, 가장 큰 화두인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일정이 정해지지 않는 등 정치적 불안감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탄핵 지연에 다시 오르는 환율…국내 금융시장은 언제쯤 안정될까

경기를 부양할 ‘추경’도 큰 진척이 없자 경기 펀더멘탈 악화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다만 지난주 외국인 약 2조원 순매수에 힘입은 삼성전자가 10% 넘게 반등해 코스피200 지수가 4.22%나 오르며 견조한 흐름을 보였지만, 코스피200 중소형주는 0.23% 하락하는 등 시장 전반으로 온기가 퍼지진 않고 있다.

시장에서는 탄핵 지연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질 경우 환율이 계속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날 보고서에서 “정치 상황에 따라 원·달러 환율 연고점(1475원) 돌파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했다. 고환율이 지속할 경우 외인 유입이 제한돼 증시의 상승세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김재승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전체에 온기가 돌기 위해선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며 “원화가 강세를 보이며 외국인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기 위해선 정치적 안정과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