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제조업 경기 전망 15분기 연속 ‘부정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제조업 경기 전망 15분기 연속 ‘부정적’

입력 2025.03.24 17:18

202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들 모습. 연합뉴스

202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들 모습. 연합뉴스

제조업계의 부정적 경기 전망이 15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제조업체 2113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BSI는 전분기(61)보다 소폭 상승한 79였으나, 기준치(100)에는 크게 못 미쳤다. BSI 지수가 100 이상이면 체감 경기를 이전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았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제조업BSI 지수는 2021년 2분기 이후 15분기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 등 대외 정책 변화에 민감한 대기업(71)의 경기전망이 가장 어두웠다. 이어 중견기업(83), 중소기업(79)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미국의 관세 부과 타격을 입은 철강(59)의 경우 2분기 연속 60 이하를 기록했다. 미국·EU 중심 무역장벽 강화, 중국과의 경쟁 심화 등을 겪고 있는 자동차(74)업종도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노출된 반도체(87), 원재료 상승과 고환율 부담이 누적되고 있는 식음료(80)업계의 전망도 나빴다.

반면 화장품(97) 업종은 중국의 ‘한한령’ 해제 기대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의료정밀(100)업종 역시 중국의 내수진작 정책에 따른 따른 미용·의료분야 소비 회복 기대감에 가장 높은 지수를 기록했다.

매출 실적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치도 낮아졌다. 대한상의의 조사에 따르면 제조기업 10곳 중 4곳이 올해 매출 목표치를 지난해 매출 목표 수준보다 낮게 설정했다. 목표치를 전년 대비 10% 이상 크게 낮춘 기업도 9.6%였다. 투자 분야에선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투자 목표치를 설정한 기업이 47.4%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보다 투자 목표치를 하향 조정한 기업은 36.6%, 상향 조정한 기업은 16%였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사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 ‘내수경기 부진’(59.5%)과 ‘원부자재 가격 상승’(4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트럼프발 관세정책’(34.8%)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21.8%), ‘고환율기조 지속’(20.5%), ‘자금조달 및 유동성문제’(12.7%)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업들은 조선, AI, 반도체 등에서의 투자와 성과를 미국에 협상카드로 제시하고, 정부도 외교채널을 구축해 미국과 적극 소통에 나서야 한다”면서 “아울러 내수·투자 활성화를 위한 과감한 인센티브 정책을 실시하고, 관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제조업 기반 서비스산업을 적극 육성해 보호무역 기조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