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기도 이동노동자쉼터 작년 37만명 이용···“대리운전·택배기사 휴식처 자리매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기도 이동노동자쉼터 작년 37만명 이용···“대리운전·택배기사 휴식처 자리매김”

경기도 전국 최다 24곳 쉼터 운영

올해 광명, 용인, 안산, 화성 추가 설치

경기 성남에 있는 이동노동자쉼터. 경기도 제공

경기 성남에 있는 이동노동자쉼터.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대리운전기사나 택배기사 등을 위해 마련한 이동노동자쉼터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해 이동노동자쉼터 이용자가 37만여명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는 2023년 24만여명에 비해 51% 증가한 것이다.

이동노동자는 배달이나 대리운전기사, 택배기사, 학습지교사 등 플랫폼에 소속돼 일하는 노동자로, 이동이 잦은 업무 특성상 휴식시간이 불규칙적이고 휴식 장소가 따로 마련돼 있지 않아 쉼터가 필요하다.

경기도는 넓은 공간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형 10곳(수원, 성남, 광주, 하남, 시흥, 광명, 부천, 안양, 의왕, 포천)과 접근성과 간편한 휴식이 중점인 간이형 14곳(고양·파주·안산·남양주 각 2곳, 구리, 광명, 용인, 성남, 이천, 화성) 등 전국에서 가장 많은 24개의 이동노동자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이용자 37만여명 중 간이쉼터는 63%인 23만여명, 거점쉼터는 37%인 13만여명이다.

경기도는 이동노동자쉼터 이용객이 늘어남에 따라 올해 역 광장, 상가 지역 공영주차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광명, 용인, 안산, 화성에 간이쉼터 4곳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쉼터 이용 편의성도 높인다. QR코드나 모바일 인증을 통한 출입관리시스템 자동화로 이용 절차를 간소화하고, 불법·무단 사용을 방지해 쉼터의 안전성과 체계성을 높였다. 또한 노동자들이 휴식 공간을 찾기 어려운 주말과 심야 개방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기도는 쉼터를 단순한 휴식 공간에서 종합 지원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동상담, 교육, 건강검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쉼터가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이동노동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복지와 지원이 함께 이뤄지는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과 확충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