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국 사회 ‘남녀·종교 갈등’ 인식률 높아졌다···국민 5%는 ‘나이 차별’ 겪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국 사회 ‘남녀·종교 갈등’ 인식률 높아졌다···국민 5%는 ‘나이 차별’ 겪어

한국 사회 ‘남녀·종교 갈등’ 인식률 높아졌다···국민 5%는 ‘나이 차별’ 겪어

지난해 국민 10명 중 8명은 ‘보수와 진보’ 간 갈등을 가장 큰 사회갈등으로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남자와 여자’ ‘종교 간’ 갈등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가장 적었으나, 1년 사이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또 5명 중 1명은 외롭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지난해 ‘보수와 진보’ 간 사회갈등을 심각하게 느낀다는 응답은 77.5%로 조사 대상 8개 항목 중 가장 높았다. 이어 ‘빈곤층과 중상층’(74.8%), ‘근로자와 고용주’(66.4%) 순이었다. ‘보수와 진보’ 응답은 전년(82.9%)보다 5.4%포인트 줄었고, ‘빈곤층과 중상층’ 응답은 전년보다 1.3%포인트 줄었다. 다만 이 조사는 지난해 8∼9월 진행돼 12·3 비상계엄 이후 정치상황은 반영되지 않았다.

‘남자와 여자’(51.7%) 갈등은 수치상으로는 가장 낮았지만 이를 문제로 꼽는 증가율은 1년 사이 9.5%포인트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종교 간’ 갈등도 전년보다 9.5%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겪은 차별 중 가장 많이 꼽힌 건 ‘연령에 따른 차별’(5.1%)이었다. 이어 성별(4.5%), 경제적 지위(3.8%) 순으로 차별을 겪었다고 답했다.

‘외롭다’고 느끼는 사람 비중은 전년보다 2.6%포인트 늘어난 21.1%였다.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비중은 3.2%포인트 늘어난 16.2%였다. ‘외롭다’는 응답은 60세 이상에서 30.1%로 가장 많았고,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는 응답은 40대에서 18.6%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6624달러였다. 2023년 가구소득은 7158만원이었다. 지난해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연 2387만원,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89만원이었다.

지난해 15세 이상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7시간으로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

지난해 사교육 참여율은 80%로 전년보다 1.5%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1987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2023년 주택보급률은 102.5%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늘었다. 같은 해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6.3배로 전년과 같았다.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15.8%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줄었다.

인구는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다. 총인구는 지난해 5175만명에서 2072년 3622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19.2%에서 47.7%로 늘어난다.

2023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8년 증가했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5위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