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고등어 등 가격 급등한 수산물, 최대 반값 할인 판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고등어 등 가격 급등한 수산물, 최대 반값 할인 판매

지난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생선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생선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년 사이 40% 가량 급등한 고등어 등 주요 수산물을 최대 반값에 할인 판매하고,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행사를 연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전국 106개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구매 금액의 최대 30%를 1인당 2만원 한도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것이다. 구매 금액이 3만4000원 이상 6만7000원 미만이면 1만원을 환급받고, 6만7000원 이상 구매하면 2만원을 받는다.

고등어를 포함해 명태·갈치·오징어·참조기·마른멸치 등 대중성 어종 6종을 다음달 6일까지 19개 마트와 25개 온라인몰에서 최대 반값에 할인 판매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국민 대표 생선인 고등어는 최근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크게 뛰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전날 기준 고등어(염장·중품) 한 손(두 마리) 평균 소매가격은 6510원으로, 1년 전 4546원보다 43.2% 올랐다.

고등어 가격 급등은 기상악화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 탓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량은 1월 대비 72.5% 감소한 5608t이었다.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고등어 산지가격은 전월 대비 28.4% 높은 kg당 5937원으로 집계됐다. 2월 말 기준 고등어 재고량은 전월 대비 13.9% 감소한 3만9174t이다.

같은 기간 마른김(10장·중품) 평균 소매가격도 1168원에서 1368원으로 17.1% 뛰었다. 다만 가격 상승세는 지난달부터 다소 주춤한 흐름이다. 월간 평균 가격은 지난해 1월 1036원에서 올해 1월 1470원까지 1년간 지속적으로 오르다 2월에 1438원으로 내려갔다. 지난해 말 크게 뛰었던 물김(마른김의 원료) 가격이 올 들어 안정세를 찾으면서 마른김 가격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기준 갈치와 물오징어의 평균 소매가격은 1년 전에 비해 각각 10.8%, 1.44% 낮아졌다. 다만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어장 형성 부진 등으로 생산량이 줄고 재고량도 감소했다. 2월 말 기준 갈치 재고량은 전월 대비 11.6% 감소한 1만460t으로, 1년 전과 평년(최근 5년 평균)에 비해 각각 37.7%, 23.8% 적다. 오징어 재고량은 전월 대비 19.8% 감소한 3만2018t으로, 1년 전과 평년에 비해 각각 12.1%, 34.0% 줄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