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악계 “공무원 국악원장 반대”…유인촌 장관 대응도 ‘비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국악계 “공무원 국악원장 반대”…유인촌 장관 대응도 ‘비판’

25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 현장. 연합뉴스

25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 현장. 연합뉴스

국악계가 “행정직 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을 반대한다”며 원장 선임을 위한 재공모를 요구했다. 국악원장 임명 논란 이후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대응에 대해서는 “임기응변식 여론전”이라고 비판했다.

국립국악원 전임 원장 등으로 꾸려진 국악계 현안 비상대책협의회(비대협)은 이날 서울 종로구에서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임 국립국악원장 선임을 위한 재공모를 실시하라고 밝혔다.

국립국악원장은 지난해 6월부터 공석으로 선임 절차가 진행 중이다. 올해 초 인사혁신처가 추린 신임 원장 후보 3명 중 용산 대통령실 비서관을 지낸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악계는 행정직 공무원이 국악원장에 임명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통령령 개정으로 국립국악원장이 공무원도 지원할 수 있는 개방형 직위로 바뀐 점도 국악계 의구심을 키웠다.

김영운 전 원장은 “(국립국악원장 후보인 문체부 공무원이) 국악 관련 경륜을 풍부히 가졌는지 모르겠다”며 “행정직 공무원은 국악의 역사와 장르별 특성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아 국민들이 국악에 관심을 갖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만드는 데 전문가보다 아쉬운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대협은 유인촌 장관이 지난 30년간 국립국악원장을 서울대 국악과 출신이 차지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사실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협에 따르면 서울대 국악과는 1959년 국내 최초로 개교했고, 두번째 국악과인 한양대 국악과는 1972년 문을 열었다. 국악 관련 고등교육 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서울대 국악과에서 수학한 이들이 원장직을 한동안 역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앞으로는 타 대학에서 원장직이 나올 수 있다는 뜻이다.

김 전 원장은 “국립국악원 지방 분원 원장들을 국악계 차세대 리더십으로 볼 수 있을 텐데, 세 곳 중 국립국악고-서울대 출신은 1명밖에 없다”며 “특정 학맥 편중 현상은 시간이 흐르며 역량이 갖춘 분들이 늘어나면 자연히 해소될 문제”라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이 국악계 여론조사를 거쳐 원장직의 공무원 개방에 80% 이상이 반대하면 인사 절차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에 관해선 “양쪽 의견이 골고루 개진되고 투표자들이 정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지 않는 한, 개헌보다 어려운 이런 식의 여론조사는 동의할 수 없다”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윤미용·김해숙 전 국립국악원장과 변미혜·김희선·김명석 전 연구실장, 이춘희·곽태규 전 예술감독을 비롯해 이상규 한국국악학회장, 김혜정 판소리학회장, 이건석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등이 참석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