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석 달 만에 나빠진 소비심리…주택가격 상승 전망은 늘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석 달 만에 나빠진 소비심리…주택가격 상승 전망은 늘어

지난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권도현 기자

지난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권도현 기자

소비심리가 석 달 만에 다시 나빠졌다. 지난해 계엄 여파로 크게 꺾인 소비 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상승 기대감이 커진 건 주택가격 전망뿐이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2월(95.2)보다 1.8포인트 떨어졌다.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 전망·가계수입 전망·소비지출 전망·현재경기 판단·향후 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CCSI는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CCSI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여파로 큰 폭(-12.5포인트) 하락해 88.2를 기록했다가 올해 1월, 2월 두달 연속 올랐지만 3월에는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수치도 여전히 100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향후경기전망(70·-3포인트), 소비지출전망(104·-2포인트), 생활형편전망(92·-1포인트), 가계수입전망(96·-1포인트) 지수가 전월보다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7)과 현재경기판단(55) 지수는 변화가 없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수출 증가세 둔화와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등으로 향후 경기 전망을 (소비자들이) 좋지 않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105)만 전월보다 6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토지거래허가제 완화에 따른 서울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다만 이번 소비자동향조사는 지난 11~18일 진행돼 서울 강남3구·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는 지난 19일 발표가 반영되진 않았다. 이 팀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이 시차를 두고 어떻게 나타날지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92)는 7포인트 하락했다. 2024년 1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기준금리가 인하된 데다 시중은행들도 최근 가산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기 시작하면서 금리 하락 전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전월과 같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