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으로 꺾인 심리, 더딘 회복
경기·소득·금리 전망 죄다 하락
주택가격전망만 전월보다 상승
소비심리가 석 달 만에 다시 나빠졌다. 지난해 계엄 여파로 크게 꺾인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상승 기대감이 커진 건 주택가격 전망뿐이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2월(95.2)보다 1.8포인트 떨어졌다.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 전망·가계수입 전망·소비지출 전망·현재경기 판단·향후경기 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CCSI는 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비관적이란 뜻이다.
CCSI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여파로 큰 폭(-12.5포인트) 하락해 88.2를 기록했다가 올해 1월, 2월 두 달 연속 올랐지만 3월에는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향후경기 전망(70·-3포인트), 소비지출 전망(104·-2포인트), 생활형편 전망(92·-1포인트), 가계수입 전망(96·-1포인트) 지수가 전월보다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7)과 현재경기 판단(55) 지수는 변화가 없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수출 증가세 둔화와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등으로 향후 경기 전망을 (소비자들이) 좋지 않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105)만 전월보다 6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토지거래허가제 완화로 서울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이번 조사는 지난 11~18일 진행돼 서울 강남 3구 및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는 19일 발표가 반영되지 않았다.
금리수준전망지수(92)는 7포인트 하락했다. 2024년 1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기준금리가 인하된 데다 시중은행들도 최근 가산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기 시작하면서 금리 하락 전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