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로 카드 이용규모 증가폭 줄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로 카드 이용규모 증가폭 줄어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로 카드 이용규모 증가폭 줄어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카드 이용규모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4년 중 국내 지급결제 동향’을 보면, 지난해 신용카드·체크카드·선불카드 등 지급카드 이용규모(일평균 3조4000억원)는 전년(3조3000억원) 대비 4.1% 증가했다.

지급카드 이용규모는 코로나19 대유행 첫 해인 2020년 0.6%밖에 늘지 않았다. 하지만 2021년(9.4%), 2022년(12.7%), 2023년(6.2%) 회복세를 보이다 지난해엔 증가율이 5% 아래로 떨어졌다. 한은은 지난해 증가 폭 축소가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년 대비 민간소비 증가율은 2022년 8.8%, 2023년 5.1%, 지난해 3.2%(잠정치)였다.

전업카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모바일기기 등(실물카드 제외)을 이용한 지급 비중(52.4%)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모바일기기 등 이용규모(일평균 1조6000억원)는 전년 대비 5.5% 증가했지만 실물카드 이용규모(1조4000억원)는 2.3% 감소했다.

모바일기기 등 이용규모 중 간편지급 서비스(카드기반 기준) 비중(51.1%)은 높은 편의성 때문에 증가 추세다. 간편지급 서비스는 카드 정보를 모바일기기 등에 미리 저장하고, 거래 시 간편인증수단(비밀번호 입력, 지문인식 등)을 이용하는 것을 뜻한다. 간편지급 서비스 중 핀테크기업(ICT업체, 휴대폰제조사)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비중은 70.3%로 확대된 반면 카드사 이용 비중은 29.7%로 줄었다.

어음·수표 이용규모(일평균 16조원)는 전년(15조6000억원)보다 2.7% 증가했다. 자기앞수표는 16.6% 감소한 반면 어음 등은 공모주 청약 관련 전자어음 발행 증가 등의 영향으로 4.2% 증가했다.

전자금융 공동망·현금자동인출기(CD) 공동망·오픈뱅킹 공동망 등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규모(일평균 99조2000억원)는 전년(92조7000억원) 대비 7.0% 증가했다. 전자금융 공동망(7.2%)·오픈뱅킹 공동망(19.0%)은 늘었지만 CD 공동망은 14.4% 감소했다.

국내은행의 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 포함) 이용 건수 및 금액은 각각 12.6%, 6.3% 증가했다. 전체 인터넷뱅킹 중 모바일뱅킹 비중은 건수 및 금액 기준으로 각각 88.9%, 19.4%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