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반도체 훈풍에 대기업 영업익 66%↑…작년 삼성·SK하이닉스 57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반도체 훈풍에 대기업 영업익 66%↑…작년 삼성·SK하이닉스 57조↑

반도체 훈풍에 대기업 영업익 66%↑…작년 삼성·SK하이닉스 57조↑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2023년 대비 6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의 영업이익 증가 폭이 크게 늘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지정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상장사 253곳을 대상으로 연간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2523조908억원으로 2023년(2384조262억원)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오름세는 더 가팔랐다. 지난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은 183조6690억원으로, 2023년(110조6428억원) 대비 66.0% 급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74.5% 확대됐다.

호실적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K반도체 실적이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인공지능(AI) 메모리 훈풍에 올라탄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23조4673억원으로 2023년(-7조7303억원) 대비 흑자 전환했다. 영업이익 증가 규모는 31조1976억원이다. AI 반도체 구동에 필수인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슈퍼 사이클에 진입한 데 따른 수혜를 독점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는 두 번째로 영업이익 증가 폭이 컸다. 삼성전자도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1년 만에 영업이익이 26조1590억원 늘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12조963억원↑), HMM(2조9280억원↑), LG디스플레이(1조9496억원↑), 한국가스공사(1조4500억원↑), 기아(1조59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조408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도체 훈풍에 대기업 영업익 66%↑…작년 삼성·SK하이닉스 57조↑

반면 현대건설은 건설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급등, 고환율 등 복합 악재에 직면하면서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현대건설의 영업손실은 1조2634억원으로 2023년 대비 감소 규모는 2조488억원이다. 영업이익이 2조원 넘게 줄어든 기업은 현대건설이 유일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석유화학 업황 침체 등으로 배터리·석유화학 관련 기업들도 실적이 악화했다.

LG화학의 영업이익은 1년 만에 1조6124억원 급감했고 LG에너지솔루션도 1조5878억원 줄었다. 이어 삼성SDI(1조2701억원↓), 에쓰오일(9324억원↓), 한화솔루션(9047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전체 19개 업종 중 11개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등 수출을 주도한 정보기술(IT)·전기전자 업종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졌다. IT·전기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3조2885억원으로 2023년 대비 853.9%(56조6540억원) 급증했다.

2023년 2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던 공기업은 지난해 12조1913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어 운송 3조532억원(50.1%↑), 조선·기계·설비 1조9472억원(29.6%↑), 증권 1조7412억원(57.9%↑) 순으로 영업이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면 석유화학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축소됐다. 지난해 석유화학의 영업이익은 2조9202억원으로 2023년 대비 62.3%(4조8165억원) 줄었다. 같은 기간 건설·건자재도 31.1%(1조8882억원) 감소한 4조1851억원에 그쳤다. 통신(9050억원↓), 철강(6647억원↓), 유통(3069억원↓) 등도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컸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