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강원 삼척시·광주시, 산불 방지 총력
비상 상황에 따라 ‘마을순찰단’도 별도 운영
충남도, 산불 조기 발견 위해 헬기 전진 배치

고성진 세종시 시민안전실장이 26일 시청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산불 대응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형산불로 인명피해 등이 잇따르면서 지자체별로 산불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다음달 4~5일 청명·한식 기간에는 성묘객들의 입산이 많아져 동시다발적인 산불 발생 우려가 큰 만큼 특별대책기간을 정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세종시는 다음달 6일까지를 ‘대형산불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산불 발생에 대한 예방 활동과 대응태세를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간에는 강도 높은 감시활동과 단속이 실시된다. 입산통제 구역도 지정 관리된다.
시는 오는 5월15일까지 지역 전체 산림(2만4849㏊)에 대해 화기소지 금지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할 계획이다. 동림산과 금성산, 수양산 등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지역(4193㏊)에 대해서는 입산을 제한한다. 자율방재단과 의용소방대, 이통장 등 328명으로 구성된 ‘마을순찰단’은 주요 등산로와 입산통제구역, 산림인접 경작지 등에 대한 순찰에 나서게 된다.
시 관계자는 “산불을 막기 위해 시민들은 등산 등 입산을 자제해야만 한다”며 “청명·한식을 맞아 성묘를 할 경우에는 화기를 소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 삼척시도 다음달 30일까지를 ‘봄철 대형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해 산불 방지에 대응하고 있다. 삼척시는 24시간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산불전문예방진화대와 산불감시원 등 356명의 산불 대응 인력을 전원 배치하기로 했다.
광주광역시도 다음달 15일까지를 대형산불 특별 대책 기간으로 했다. 소각행위 단속 등의 예방 활동과 산불 발화 시 초동진화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로부터 확보한 특별교부세를 활용해 열화상 드론 구입 등의 산불진화장비를 확충하고, 대대적인 산불예방 홍보 활동도 벌이고 있다.

지난 25일 밤 경북 안동시 경국대학교 앞 야산으로 산불이 번지고 있다. 안동 | 성동훈 기자
충남도는 산불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해 도내 216개 기관에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운영 중이다.
산불을 조기에 발견하고 초동에 진화하기 위해 산불 진화 임차 헬기 5대는 홍성·논산·천안·보령·서산 등 5개 시군에 전진 배치했다. 임차 헬기는 산불 취약시간대에 계도비행을 실시한다. 산림청과 군부대 등 도내 전역에 있는 헬기 24대와 공조체계를 유지하면서 산불 발생 시 초기부터 투입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산불방지인력을 활용해 284㏊ 규모의 농지에 방치된 영농부산물을 파쇄하고 산림 연접 논·밭두렁, 농산부산물 무단 소각 행위도 집중적으로 단속 중이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박정주 도 행정부지사는 “논·밭두렁 및 농업 부산물과 생활쓰레기 소각, 담뱃불 등이 산불로 확산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만큼 소각 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에 나서야할 때”라며 “마을방송을 통해 소각 금지를 안내하고 입산자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계도와 단속에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산불의 주요 원인인 불법 소각 행위에 대한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