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석열 탄핵 앞 ‘조기 대선’ 타이밍 싸움···이재명, ‘무죄’로 피해갔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석열 탄핵 앞 ‘조기 대선’ 타이밍 싸움···이재명, ‘무죄’로 피해갔다

입력 2025.03.26 17:27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선고 공판을 마친 뒤 고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선고 공판을 마친 뒤 고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큰 걸림돌 없이 조기 대선을 준비할 수 있게 됐다. 이 대표 재판과 맞물린 시기에 헌법재판소 심판을 받아 온 윤석열 대통령은 아직 파면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언제, 어떻게 마무리되는지 지켜보며 대선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26일에도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 선고일을 공지하지 않았다. 선고 2~3일 전 일자를 공지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선고는 다음 달로 넘어갈 확률이 높다. ‘선고 마지노선’은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퇴임하는 다음 달 18일이다. 두 재판관이 퇴임하면 재판관 ‘6인 체제’가 돼 심리·의결 정족수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윤 대통령 사건 결론이 늦어지는 것은 헌재가 의견 수렴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의미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 사건 결정문에서 드러났듯 헌재 내 의견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평의조차 원활히 진행되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이미 결론을 냈지만 일부 재판관이 결정문에 소수의견을 추가하는 등 결정문을 다듬는 작업이 지연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헌재가 다수 탄핵사건을 동시에 심리하면서 업무가 가중된 영향도 있을 수 있다.

헌재 결정이 다음 달 중순 뒤로 더 미뤄질 소지도 없지 않다. 한 권한대행이 수개월째 임명 보류 상태인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면 헌재는 ‘9인 체제’가 된다. 마 후보자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에 관여할지, 관여할 경우 헌재가 변론을 재개해 갱신 절차를 밟을지 등은 헌재 재량이다. 만일 헌재가 마 후보자를 합류 시켜 ‘완전체’에서 결정을 선고하기로 하고, 변론 갱신 절차를 거친다면 한두 차례 추가 변론을 여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탄핵 결정 시점은 차기 대권과도 연결된 문제다. 다음 달에 윤 대통령이 파면되면 조기 대선은 ‘60일 이내 후임자를 뽑아야 한다’는 헌법 조항에 따라 6월 중 치러진다. ‘8인 체제’에서 가장 늦은 탄핵선고 예정일인 다음 달 18일을 기준으로 하면, 대선은 늦어도 오는 6월17일 이전에 열려야 한다.

이 대표가 26일 항소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형을 받았다면 탄핵 결정 및 대법원 선고 시점에 따라 이 대표의 ‘대권 운명’이 달라질 수 있었다. 대법원은 공직선거법 ‘6·3·3’ 원칙에 따라 대법원은 항소심 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인 오는 6월26일 이전에 판결을 내려야 한다. 만일 이 대표가 대선 전 대법원에서 벌금 100만원 이상을 확정받으면 이 대표의 대선 출마는 불가능했다.

이날 무죄 판결로 이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부담을 내려놓고 대선에 임할 수 있게 됐다. 만일 대법원이 항소심 판단에 법리적 문제가 있다고 이를 파기하더라도 판결이 확정된 게 아니기 때문에 이 대표는 선거에 나설 수 있다. 다만 이 대표가 차기 대통령이 되더라도 받아야 할 재판은 그대로 남기에 ‘현직 대통령은 형사 소추를 받지 않는다’는 헌법상 불소추 특권에 대한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