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물걸2리 ‘회수 사업’

강원 홍천군 내촌면 물걸2리의 쓰레기 수거함 앞에 폐농약병이 놓여 있다. 삼삼은구 제공
‘모아지기·모아짱’ 지정
5개월간 10ℓ·310kg 수거
“일자리 사업 연계 필요”
강원 홍천군 내촌면 물걸2리 토박이 이예구씨(73)는 마을 쓰레기를 한데 모으고 분류하는 쓰레기 ‘모아지기’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통해 업무를 맡은 그는 일주일에 3번 출근하고 활동비로 29만원을 받는다.
이씨의 일터는 마을회관 분리배출장(클린하우스·텃밭 ‘모아’)이다. 그는 무엇보다 폐농약병을 주의 깊게 다룬다. 마을은 지난해 10월부터 ‘숲과나눔·사랑의열매 초록열매 성과확산 프로젝트’ 일환으로 ‘폐농약·폐농약병 회수’ 사업을 하고 있다.
농촌의 폐농약병 처리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씨는 “날이 더워지다보니 병해충이 더 많아졌다”며 “안 쓰면 작물이 여물지 않기 때문에 약을 더 많이 쓴다”고 말했다.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폐농약 수거·처리 책임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 실태조사를 보면 2023년 기준 폐농약 수거·처리를 시행하는 지자체는 전국 228곳 중 86곳(37.7%)에 그쳤다. 많은 지자체가 개인이 폐기물 처리업체에 직접 맡기거나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안내한다.
다 쓴 농약병 처리도 주민 몫이다. 폐농약병 수거·관리 주체는 한국환경공단이다. 빈 농약병을 마을에 모아두면 환경공단이 수거해 무게에 따라 마을에 보상금을 지급한다. 통상 환경공단에서 거둔 폐농약병 꾸러미에는 빈 농약병과 일반 플라스틱 용기가 섞여 들어오는데, 공단은 별도 분류 작업 없이 무게에 따라 보상금을 준다. 이렇다 보니 생산한 농약병보다 회수량이 더 많이 나온다. 일반 플라스틱병도 폐농약병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상금 예산이 빨리 소진된다.
폐농약·폐농약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걸2리 주민들은 직접 팔을 걷어붙였다. 먼저 폐농약을 1년간 모아둘 수 있는 공간을 마을회관에 만들었다. 그리고 마을 쓰레기를 관리하는 ‘모아지기’와 이를 총괄하는 ‘모아짱’을 정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마을 주민들은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폐농약·폐농약병 수거 캠페인을 벌였다. 폐농약 10ℓ, 폐농약병 310㎏이 모였다. 환경공단에 따르면 그간 물걸2리의 연간 폐농약병 수거량은 약 160㎏이었다. 모아짱 최종화씨(73)는 “내촌면 14개 마을이 모두 수거 공간을 만들고 책임자를 정해 관리한다면 농약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금방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씨는 농촌 쓰레기 관리는 일자리와 연계돼야 지속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노인 일자리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이달부터 월 76만원의 임금을 받는다. 물걸2리 마을 순환 텃밭 ‘모아’를 운영하는 ‘삼삼은구’의 김인호 대표는 “폐농약·폐농약병 관리를 위해서는 공간과 사람이 필요하다”며 “마을 공동체가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고 일자리가 생기면서 주민들도 보람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