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정부 쌀 감축에 ‘역대 최소’ 생산…‘수급 불안·식량안보 위협’ 우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정부 쌀 감축에 ‘역대 최소’ 생산…‘수급 불안·식량안보 위협’ 우려

정부 쌀 감축에 ‘역대 최소’ 생산…‘수급 불안·식량안보 위협’ 우려

올해 4%가량 줄어 344만t 전망
재배면적 8만ha 감축 정책 영향

기상악화 겹치면 생산 더 감소
상승세인 쌀 가격 더 오를 수도

정부의 ‘벼 재배면적 감축’ 정책으로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4%가량 감소해 역대 최소가 될 것이란 국책연구기관 전망이 나왔다. 정부의 무리한 감축 추진이 쌀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쌀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을 키우고, 식량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 농업관측센터가 26일 공개한 ‘농업관측 4월호’를 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44만t으로 지난해(358만5000t)보다 14만5000t(4.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통계청이 미곡 생산량 집계를 시작한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이는 기존에 쌀농사를 짓던 농가의 올해 벼 재배 의향이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통계청과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6~12일 벼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표본조사한 결과, 벼 재배면적(재배 의향 면적)은 66만3000㏊(헥타르·1㏊=1만㎡)로 추산돼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았다. 지난해(69만8000㏊)보다 5.0% 줄어들어 감소폭도 역대 가장 컸다. 기존 벼 재배에서 논콩, 조사료, 가루쌀 등 전략작물 재배로 전환하거나 휴경을 하겠다고 응답한 농가가 많았다는 의미다. 농경연은 이같이 추산한 면적에 최근 5년간 평균 쌀 생산단수 10a(1000㎡)당 생산량(518㎏)을 적용해 올해 쌀 생산량을 산출했다.

농가의 벼 재배 의향이 줄어드는 배경에는 정부가 쌀 과잉공급 문제를 해소하겠다며 추진 중인 올해 ‘벼 재배면적 8만㏊ 감축’ 정책이 깔려 있다.

올해 감축 면적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69만8000㏊)의 11%로, 여의도(290㏊)의 276배 규모다. 지방자치단체에는 지난해 쌀 생산량을 기준으로 올해 감축 목표치가 할당된 상태다.

지난해처럼 작황 부진과 기상 악화 등이 겹치면 쌀 생산량은 더 쪼그라들 수 있다. 통계청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에서 2024년 쌀 생산량이 2023년(370만t)보다 1.2%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으나, 비슷한 시기에 벼멸구 피해가 전국적으로 커지면서 감소폭이 전년 대비 3.2%로 확대됐다.

생산량이 크게 줄면 향후 쌀 가격이 상승하고 수급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 산지 쌀값(80㎏ 한 가마)은 지난해 말 18만4700원에서 지난 15일 기준 19만2848원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정부 목표가격인 20만원에 근접해 있다. 쌀 공급이 줄어드는 7~9월을 거치면 쌀값은 더 오를 수 있다. 농경연도 최근 관련 보고서에서 “‘벼 재배면적 감축’ 영향으로 쌀 생산이 줄어 가격이 오르고 수급 불안이 커질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식량안보 측면에서도 우려가 커진다. 강순중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정책위원장은 “세계 각국은 다가올 식량위기에 대비해 자급 능력을 키우려고 애쓰는데 우리 정부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농민의 영농권을 제한하고 있다”며 “정부의 무리한 재배면적 감축이 결국엔 쌀 수급 불안을 키우고, 식량안보를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