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북, 강원도급 산림…마을 ‘비상소화장치’는 4분의 1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북, 강원도급 산림…마을 ‘비상소화장치’는 4분의 1

주민들 서둘러 산불 잡기 위해 야산 인근에 설치된 장비

‘2019년 방어 효과’ 강원, 1852개로 확충…경북은 434개

시범 교육 강원 강릉시와 강릉소방서 관계자들이 지난 7일 강릉시 내곡동 한 야산에서 주민들에게 비상소화장치 사용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강릉시 제공

시범 교육 강원 강릉시와 강릉소방서 관계자들이 지난 7일 강릉시 내곡동 한 야산에서 주민들에게 비상소화장치 사용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강릉시 제공

대형 산불로 1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지역에 산불 대응용 기본 소방장비인 ‘비상소화장치’가 턱없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비상소화장치는 마을 인근에서 산불이 발생했을 때 소화장치함에 보관된 관창과 100m 길이의 호스 등을 옥외 소화전에 연결해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는 장비다. 지역 주민들은 비상소화장치 확충 등 기초 소방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26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17개 시도의 산림 인접 마을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모두 2807개다. 이 중 1852개(66%)가 강원도에 비치돼 있다. 경북 434개, 충북 115개, 경기 97개, 광주 63개, 전남 50개, 울산 43개, 전북 41개, 경남 23개 등이다.

2020년 산림통계를 보면 강원도의 산림면적은 137만㏊, 경북도의 산림면적은 134만㏊로 규모가 비슷하다. 그런데 경북도의 비상소화장치 수는 강원도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소화장치함과 두루마리 호스(호스릴), 관창, 옥외 소화전 등으로 구성된 ‘비상소화장치’ 1개를 설치하는 비용은 1500만원가량으로 알려져 있다. 강원도는 2019년 4월 발생한 고성·속초 대형 산불을 계기로 비상소화장치를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했다.

산불 당시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홍와솔 마을’ 주민들은 비상소화장치를 이용해 5시간가량 진화작업을 벌인 끝에 마을로 향한 불길을 모두 잡는 데 성공했다. 이 마을의 주택 4채가 전소 또는 반파됐으나 나머지 19채는 피해를 보지 않았다.

산불 발생 19일 전 마을 자체 경비로 설치한 비상소화장치로 주택 대부분을 지켜낸 사실이 알려지자 백두대간과 접해 있는 강원 동해안 지역 곳곳에서 이 장비를 설치해달라는 요청이 쇄도했다.

이에 따라 강원도소방본부는 202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강릉, 동해, 삼척, 속초, 고성, 양양 등 동해안 6개 시군의 산림 인접 마을에 1852개의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했다. 2019~2023년 삼척, 동해, 강릉 등 동해안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때 33개 비상소화장치를 이용해 주택 250여채를 지켜냈다.

강원도는 비상소화장치 설치를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행정안전부가 2019년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산불 피해 위험지수가 높아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강원 동해안 지역 마을은 2880개에 달했다.

천정덕 강원도소방본부 화재대응조사과 소방령(55)은 “비상소화장치는 대형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산골 마을에서 산불을 초기 진화하는 데 더 유용하게 쓰인다”면서 “산불이 대형화하는 추세를 보이는 점을 고려해 동해안뿐만 아니라 영서 지역 산간 마을 등에도 비상소화장치를 확대 설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산불 피해를 본 의성과 안동 지역 주민들은 “경북 전체 면적의 70% 이상이 산림인데도 불구하고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된 곳은 그리 많지 않다”며 “이 같은 설비가 확충돼야 산불 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