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진화의 7할’ 대형헬기 확충 시급하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진화의 7할’ 대형헬기 확충 시급하다

지난 24일 경북 의성군 종합운동장에서 화재 진압 헬기가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지난 24일 경북 의성군 종합운동장에서 화재 진압 헬기가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의성 불길 확산 주원인에
초기 진압 실패 문제 꼽혀

산림청 가용 장비 40대뿐
연례화 산불 피해 ‘눈덩이’
1대당 수백억 투자가 현명

지난 22일 발생한 경북 의성 산불이 확산한 주요 원인으로 초기 진화 실패가 거론됐다. 산불 진화 주력 장비인 헬기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탓이다. 의성과 산청, 울주 등의 대형 산불 진화에 산림청 헬기 외에 다목적 소방 헬기와 군 헬기도 투입되고 있으나 대부분 담수량 1000~2000ℓ의 소형이다.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는 모두 50대의 산불 진화 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담수량 8000ℓ의 대형헬기인 S64 7대를 비롯해 담수량 3000ℓ의 KA-32(카모프) 29대, 2000ℓ의 KUH-1(수리온) 3대가 있고, 나머지 11대는 담수량 600~800ℓ의 소형이다.

주력 기종인 KA-32 헬기 중 8대는 러시아산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부품을 교체하지 못해 지난해부터 운용이 중단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미국의 금융제재로 달러로 부품 계약을 할 수 있는 길이 막혔다. 외교부를 통해 거래 재개를 요청했지만 미국 정부 승인이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산불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헬기는 42대에 불과한데, 그나마도 전부가 활용되는 것도 아니다. 일정 비행시간 이후 정비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지난해 도입한 국산 헬기 수리온은 야간 비행이 가능한데, 수리온 2대는 의성·산청 산불 진화에 투입됐고, 1대는 정비를 마치고 26~27일쯤 복귀한다. S64 헬기 중 5대는 의성에 있고, 제작사가 있는 미국에서 엔진을 정비 중인 2대는 각각 4월5일과 5월 중 복귀 예정이다.

인력과 차량 접근이 어려운 탓에 산불 진화의 7할은 헬기에 달렸다. 산불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현장에 접근해 물을 뿌려야 불길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최소한 한 현장에 3~4대의 헬기가 필요하다. 2023년 4월2일 35건의 산불이 동시 발생했는데, 현장마다 3대의 헬기를 보낸다면 100대는 되어야 감당할 수 있다. 지금 산림청 헬기만으론 감당할 수 없다.

헬기 도입은 구매 계약 후 3년 정도 걸린다. 미리 확충하지 않으면 이번처럼 헬기 부족으로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반복된다. 수리온의 대당 도입 가격은 약 330억원, S64는 505억원, 치누크는 550억원 정도로 적지 않은 비용이 들고, 산불이 발생하지 않을 때 활용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산불이 대형화·연중화되는 추세를 고려하면 충분히 도입할 가치가 있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2022년에만 산불로 1조3463억원의 재산 피해를 봤는데, 이렇게 입는 피해보다 도입·운용 비용을 감내하는 게 나은 선택이라는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 권춘근 박사는 “산불의 연중화·대형화에 대비해야 하는데, 핵심은 3000ℓ 이상 담수량을 가진 산불 진화 전문 헬기를 확충하는 것”이라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