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월세, 아니면 자가…30대 초반 ‘주거 양극화’ 커졌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월세, 아니면 자가…30대 초반 ‘주거 양극화’ 커졌다

국가통계연구원 ‘코호트별 비교 연구’

31~35세 월세 비율 15년 만에 4%P ↑

전세 비중은 점차 줄어들어 ‘분화’ 흐름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30대 초반의 전세 세입자 비율이 줄고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등 주거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27일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를 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갈수록 증가했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 분석해서 1970∼1974년생, 1975∼1979년생, 1980∼1984년생, 1985∼1989년생 일반가구원의 주택 점유 형태를 분석했다.

세분화해서 보면,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이후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엔 이 비율이 19.0%로 증가했다.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 경우엔 20.8%, 1985∼1989년생은 21.3%로 계속 늘었다. 30대 초반에 ‘월세살이’를 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의미다.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흐름이 비슷했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보고서는 “전체적으로 보면 최근에 가까울 수록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반면 30대 초반 시기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우하향’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청년층의 주거 점유 형태에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들은 전세에서 자가로, 그렇지 못한 청년들은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며 양극화가 심해졌다”며 “다만, 자가 소유 비율은 역대 부동산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