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는 이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 설계 도면을 입력해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약 3~8시간이 걸렸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의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했다.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차원(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한다.
LG전자는 개발자들이 기술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엔지니어링 AI)’도 선보일 계획이다.
회사는 우선 이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활용한다.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과 TV, 차량용 제품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예를 들면 냉장고 트레이 개발 과정에서 냉장고 규격에 맞는지 등을 검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기업간거래(B2B) 사업인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한다. 올해 LG전자 생산기술원이 LG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4000억원으로 예상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박찬영 카이스트(KAIST)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해왔다. 최근 학술적 검증을 받기 위해 ‘국제머신러닝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