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계획과 관련해 27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긴급 민관합동 대책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미국이 수입 자동차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자 정부가 다음달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오후 안덕근 장관 주재로 긴급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어 미국 측의 관세 부과가 한국 자동차 업계에 미칠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 자리에서 “미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 방안을 강구해나가는 한편, 관계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4월 중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안 장관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 통상 고위 당국자들과 현대차·기아, 만도, 현대모비스, 인팩, 자동차협회, 자동차 부품조합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 자동차는 세단, 미니밴을 포함한 승용차와 경량 트럭, 주요 자동차 부품 등이다. 자동차 부품엔 엔진, 엔진 부품,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 부품이 포함되며 세부 목록은 추후 발표된다. 관세 부과 시점은 자동차는 다음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은 5월3일 이전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31조원대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지만 이날 별도의 ‘면제’는 받지 못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다음달 상호관세 시행 이후 이어질 미국과의 협상에서 이번 대미 투자를 적극 강조해 현대차의 한국 생산 물량에 대한 관세 면제까지 다 받아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미국 수출 물량은 약 101만대, 한국지엠은 41만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