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방파제 밑 공간에서 간신히 숨만 쉬어”…원전 후보지 영덕 석리, 산불로 쑥대밭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방파제 밑 공간에서 간신히 숨만 쉬어”…원전 후보지 영덕 석리, 산불로 쑥대밭

27일 오전 산불로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한 건물이 그을린 채 파손돼 있다. 오동욱 기자

27일 오전 산불로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한 건물이 그을린 채 파손돼 있다. 오동욱 기자

산에서 넘어온 ‘불뭉치’ 덮쳐
바닷가 마을 60여가구 피해

실제 원전 들어섰다면 ‘아찔’
산불로 주변 송전선 불타면
발전소 정전으로 재앙 우려

“바닷가 방파제 밑 공간에 엎드려 숨만 쉬고 있었지.” 지난 25일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이미상 이장(62)은 27일 기자와 만나 당시 상황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는 산에서 넘어오는 “불뭉치”의 화력이 너무 강해 바닷가 석리방파제로 대피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온 신규 원전인 영덕 천지 1·2호기 후보지가 바로 이곳이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10년 만의 신규 원전 건립 방안이 담겼는데, 석리가 유력한 후보지로 꼽혔다.

27일 찾아간 석리 마을은 포탄이 떨어진 듯한 모습이었다. 이 마을은 지난 25일 경북 의성에서 순식간에 안동, 청송을 타고 넘어온 산불로 60여가구가 피해를 입고 쑥대밭이 됐다. 마을에는 염소와 소, 닭의 울음소리만 들렸다. 슬레이트 지붕들이 화염에 구겨져 길바닥에 나뒹굴었다. 시멘트 벽면은 군데군데 무너져 내렸다. 어느 집 보일러실로 보이는 곳에서는 빨간 불꽃이 타닥타닥 소리를 내며 튀고 있었다.

주민들은 “불이 지면을 타고 가는 게 아니라 하늘을 날았다”고 했다. 산마다 검게 탄 나무들이 서 있었다. 마을의 돌과 풀, 흙도 그을려 있었다. “대나무가 빽빽했다”던 야트막한 언덕도 잿더미만 남았다.

석리는 과거에도 신규 원전 건설 부지로 추진됐지만 문재인 정부 때 원전 의존도를 낮추면서 취소됐다. 주민들은 “저 타버린 산까지 해서 이 근방 100만평(330만㎡)가량이 원자력발전 부지로 선정된 공간이었다”고 했다.

만약 이곳에 원전이 들어섰다면 어떻게 됐을까. 전문가들은 산불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에 원전을 건설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주변 산을 다 밀어버린다 해도, 원전과 연결된 주변 송전선로 등이 불에 타면 발전소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는 “(산불이) 전원 시설을 타격해 발전소 정전을 유발하면 원전의 냉각이 불가능할 수 있다”며 “이게 심해지면 후쿠시마처럼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이원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2년) 울진·삼척 산불 때문에 (울진) 원전으로 이어진 송전선로가 완전히 끊어지기 직전까지 갔다”며 “전력 공급이 대규모로 끊어지면 전력망 안정성이 깨지며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원전 건립을 여전히 원하는 주민도 있었다. 석리 한 주민은 “어차피 타버린 김에 더 탈 것도 없으니 원전이 들어오면 좋겠다”고 했다. 화재 피해를 복구하는 대신 원전을 짓고 아예 주민들을 이주시키자는 절망감의 표현이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