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수학교과서연구소 소장
‘산학계몽’ 1660년 목판본부터
30년간 모은 서적 의령군에 공개

수학책 3천권 모은 김영구씨. 의령군 제공
경남 의령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2000년대까지 400년 동안 출판된 수학책 3000권을 볼 수 있다.
김영수 수학교과서연구소 소장(66)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 수학의 날’(3월 14일. 원주율 근삿값 3.14에서 착안)을 맞아 그동안 수집한 수학책을 의령군에 공개했다.
김 소장은 의령군 가례면 자굴산 기슭에서 매실 농장을 운영하며, 전국을 돌며 30년간 수학책을 수집한 별난 이력을 갖고 있다.
그의 소장한 책은 조선 시대, 일제강점기, 해방에서 6·25전쟁까지, 1950년부터 2000년까지 등 크게 4개 시기로 구분돼 있다.
김 소장은 의령지역과 관련이 있는 이상익의 <신식 산술교과서>(1908)를 먼저 소개했다. 수학자 이상익은 삼성그룹 창업주 호암 이병철 회장이 중동학교에 다닐 때 수학 담당 교사로 이 회장을 가르친 스승이다.
이상익은 ‘헤이그 특사’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친동생으로 <근세산술>이란 수학 교과서를 쓰는 등 근대 수학교육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가장 오래된 책은 <산학계몽>이다. 1299년 중국 원나라 수학자 주세걸이 쓴 것인데 연구소에는 1660년 산학계몽 목판본이 있다.
조선시대 최초 서양수학을 다룬 <주서관견>(1705) 필사본, 조선시대 널리 사용된 수학책 <수리정온>(1723), 한국 정부가 처음으로 펴낸 수학교과서 <산술신서>(1900)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닌 책들이 많다.
수학책에는 민족의 아픈 역사도 엿볼 수 있다. 미군정청 문교부가 펴낸 <초등 셈본>(1946)을 보면, 단기 4279년 여름에 괴질(콜레라)이 퍼져 그해 10월 28일 기준 전국에 1만5641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그중 1만1118명이 사망했다는 통계가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초등과 산수>(1944)를 보면 만 13세 이상 14세 미만은 육군소년지원병에 지원할 수 있다. 체격은 키 133㎝, 몸무게 39㎏으로 조선인이 왜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55년 천연색으로 인쇄된 첫 수학교과서 <산수>, 1971년 <표준전과>, 1980년 <정석> 등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친근한 수학책도 빼곡히 전시돼 있다.
김 소장은 “인류 문명의 발전에 수학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수학의 후퇴는 국가의 후퇴와도 같다”며 “의령에 오면 매일매일 수학의 날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