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벼 수확 장면. 농촌진흥청 제공
지난해 벼농사로 얻은 순수익이 전년보다 24%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비용은 늘어난 데 반해 이상기후 등으로 수확량은 떨어졌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10a(1000㎡)당 순수익은 27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8만7000원(24.3%) 감소했다. 2022년 18만5000원(36.8%) 감소한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순수익률은 23.5%로 1년 새 5.5%포인트 떨어졌다. 2016년 21.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산지 쌀 가격이 내리고, 생산비용은 늘면서 수익성이 급감했다. 산지 쌀값은 2023년 20kg당 5만1000원에서 지난해 4만6000원으로 8.9% 하락했다.
같은 기간 10a당 논벼 생산비는 88만2000원으로 7000원(0.8%) 증가했다. 벼를 생산하는 데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비용인 직접생산비는 위탁영농비와 종묘비(종자·모 구입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 증가했다. 간접생산비는 토지용역비 하락으로 1.7% 감소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20kg당 쌀 생산비는 3만3000원으로 845원(2.6%) 증가했다. 논벼 생산비가 증가한 가운데 벼 낟알이 익는 시기에 집중호우와 고온으로 병충해 등 피해가 늘어나면서 쌀 생산량은 1.7%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내급비(자가노동비·자가토지용역비·자본용역비)는 1.5% 증가해 10a당 30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금리가 상승하면서 자본용역비가 증가한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