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이하 여성 아동·청소년을 모아 걸그룹 오디션을 진행하는 MBN ‘언더피프틴(UNDER15)’의 편성이 취소됐다. 출연자 영상·포스터가 사전 공개된 이후 ‘아동 성 상품화’ 우려가 거세게 이는 등 부정적 여론이 이어지자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크레아스튜디오’가 제작한 ‘언더피프틴(UNDER15)’ . 유튜브 캡처
언더피프틴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는 28일 “깊은 고심과 회의 끝에 예정되어 있던 3월31일 방송 일정을 취소하고 출연자 보호와 재정비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결정했다. 이에 MBN에 편성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프로그램의 본질과 참가자들의 진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제작하겠다”고 했다.
[컨트롤+F]“아이들이 방송 기다린다”는 ‘언더피프틴’, 진짜 아이들을 생각한다면
MBN 측도 이날 “크레아스튜디오의 방송 취소 입장을 확인했다”며 “MBN은 이번 방송 취소와 관계없이 크레아스튜디오와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냈다.
언더피프틴은 K-팝 가수 지망생 59명이 경쟁하는 경연 프로그램이다. 제목처럼 참가자 나이를 만 15세 이하로 제한했다. MBN에서 오는 31일 첫 방송이 예정됐지만, 사전에 공개된 출연자가 성인 여성처럼 노출 있는 의상을 입고 화장한 모습, 참가자의 프로필 이미지에 바코드를 배치해 참가자를 ‘상품’처럼 연출한 점에 비판이 이어졌다. 또한 참가자 중 5명은 2016년생으로 만 8세에 불과했다.

논란이 되었던 ‘언더피프틴’ 참가자 프로필. ‘언더피프틴’ 인스타그램
크레아스튜디오는 지난 25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제작진은 어린 친구들을 성 상품화했거나, 이들을 이용해 성 착취 제작물을 만들지 않았다”며 “엄청난 오해”라고 해명했다. 서혜진 크레아스튜디오 대표는 논란이 된 ‘바코드 이미지’가 “학생증 콘셉트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작사 차원에서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지만 여론을 반전시키지 못했다.
그간 여성단체뿐 아니라 교원단체, 언론단체 등도 ‘언더피프틴(UNDER15)’의 방영 재검토를 거세게 요구해왔다.
여성·언론·청소년·교육 등 분야의 129개 시민사회단체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MBN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언더피프틴’ 방송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공동 기자회견문에서 “이번 사건은 한국 방송산업 전반에 여성 아동·청소년의 인권과 성인지 감수성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보여준 대표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밝혔다.
초등교사노조는 지난 27일 성명을 내고 “<언더피프틴>에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들은 “아동이 주간에 녹화에 참여했다면 학교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수하기 어렵다”며 “이 방송을 통해 15세 미만 아동의 방송 활동이 일반화된다면 연예인을 꿈꾸는 많은 아동의 교육권이 침해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또 “의무교육은 아동의 의무이자 권리이고, 검정고시로 학력 인정을 받을 수 있다지만 학교에 다니며 얻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또래문화 경험을 대체할 수 없다”며 “15세 미만의 최대 녹화 시간 35시간도 너무 길다. 주 35시간은 주 5일을 기준으로 일 7시간”이라고 했다.

여성·언론·청소년·교육 등 분야의 129개 시민 사회 단체가 26일 오전 서울 MBN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언더피프틴’ 방영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사진 속에는 128개 단체라고 돼 있으나 최종 129곳이 참여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제공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도 지난 21일 성명을 내고 “여성 어린이를 성 상품화하고 인권 침해로 내모는 <언더피프틴>의 방영을 철회하라”고 했다. 전교조는 성명에서 “공개된 사진과 영상에서는 50여명의 10대 초반의 어린이들이 민소매, 크롭톱, 미니스커트 등 노출이 있는 옷차림을 하고 있었다”며 “개인 프로필 사진엔 바코드가 새겨져 마치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처럼 보이도록 했다. 어린이 출연자들을 아이돌 오디션이라는 명목으로 성적 이미지를 입혀 상품처럼 소비할 수 있도록 내모는 것”이라고 했다.
전교조는 또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어린이·여성 출연자의 고통은 외면한 채, 여성 혐오적 사회구조와 공조하며 점차 낮은 연령대의 여성 어린이들을 성적으로 소비하도록 부추기고 있다”며 “<언더피프틴>이 내세운 ‘만 15세 이하 K-POP 신동 발굴’이라는 허울 좋은 껍데기는 여성 어린이들의 외모와 능력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경쟁시키고 평가하는 것에 대한 죄의식을 마비시키기까지 한다는 점에서 더 악질적”이라고 했다.
▼ 전지현 기자 jhyun@khan.kr · 김원진 기자 onejin@khan.kr · 김서영 기자 westzero@kha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