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중국 베이징 중관춘혁신센터에서 ‘2025년 한중과학기술혁신협력포럼’이 열리고 있다./KIC중국 제공
한국과 중국은 급속하게 발전하는 중국의 인공지능(AI)과 로봇 산업에서 협력 분야를 찾아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고 양국 전문가들이 제언했다.
28일 중국 베이징 중관춘혁신센터에서 ‘2025년 한중과학기술혁신협력포럼’이 열렸다. 중국의 국가급 과학기술 행사인 중관춘 포럼의 주요 프로그램으로서 기획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와 한국연구재단, 중국 베이징과학기술위원회과 중관춘관리위원회가 공동주최했다. 한국과 중국의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체화지능과 로봇이 이날 행사의 핵심 주제로 다뤄졌다. 체화지능은 로봇이 인간의 조종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넘어서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지난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체화지능을 언급하며 집중적 육성을 예고했다.
잉위페이 베이징즈여우연구원 부원장은 체화지능 주제 발표에서 “체화지능은 다양한 업무에 도입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미래산업의 핵심 모멘텀이 되고 있다”며 “AI가 인간 능력의 80%를 넘어서면 인간과 로봇이 상부상조하는 세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체화지능 로봇을 이용한 24시간 신약 개발, 식당 음식 메뉴 추천 등을 예로 들었다.
한국 전문가들은 한·중 협력으로 첨단기술 분야에서 성과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수 주중대사관 과학기술정보통신관은 축사에서 “로봇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 간 협력이 필수적인 분야”라며 “한·중 양국이 서로의 강점을 살려 협력해야만 지속적 혁신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문 KIC중국 센터장은 “AI와 로봇 산업 생태계는 ‘반도체·센서 등 기초 기술 영역 ’, ‘데이터 처리·클라우드·딥러닝 등 기술 영역’, ‘자율주행·스마트 도시·스마트 제조 등 응용 산업 영역’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며 “국가 전략 기술과 정책이 다르더라도 영역을 세부적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협력 가능 분야가 반드시 있는 만큼, 이를 통해 양국은 글로벌 경쟁력을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국제 많이 본 기사
노규성 한국 생성형AI연구원 원장은 주제발표에서 “딥시크 출현으로 AI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고, (오픈소스를 통한 생태계 조성이) 네이버, 카카오 등 한국 기업에도 기대감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동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기술센터장, 한상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GBSA) 본부장, 판덩페이 베이징즈위안인공지능연구원 수석연구원 등도 이날 발표자로 참여해 기술혁신 발전 동향과 협력 플랫폼 구축 방안 등에 대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