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1일 경북 산불 최초 발화지로 지목된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발생 현장 인근에 초록색 풀이 돋아나 있다. 의성|권도현 기자
고향사랑기부제가 영남권 산불 피해 회복을 위한 통로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일 행정안전부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울산 울주와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군, 경남 산청·하동군 등 8개 지자체에 약 44억원의 고향사랑기부금이 모금됐다고 밝혔다.
산청 산불이 발생한 지난달 21일부터 영남권 초대형 산불 주불이 모두 진화된 지난 31일까지 동안이다. 이 지역의 모금액은 같은 기간 고향사랑기부 전체 모금액(약 64억 원)의 69% 수준이다.
지자체별 모금액을 살펴보면 영덕군 14억원, 의성군 11억2000만원, 안동시 7억9000만원, 청송과 산청 각 2억7000만원, 영양군 2억2000만원, 울주군 1억8000만원, 하동군 1억5000만원이다.
지난해 고향사랑기부금이 238만원에 불과한 의성군은 올해 기부금이 약 470배, 3400만원이었던 영덕군은 약 41배 증가했다.
현재 특별재난지역 8개 지자체는 모두 ‘고향사랑e음’으로 일반기부 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민간 플랫폼인 위기브는 영덕군과 의성군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지정기부 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행안부는 피해 지자체의 빠른 모금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지방의회의 사전의결 대신 지방의회 보고만으로도 모금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정기부 사업개시 요건을 완화했다.
행안부는 기부 편의를 높이기 위해 고향사랑e음 외에도 국민·신한·하나·기업·농협은행과 위기브, 액티부키 등 7개 민간플랫폼으로도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 각 플랫폼은 모금활동과 함께, 배너 및 팝업을 개시하면서 이들 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인터넷 대형 커뮤니티와 주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고향사랑기부금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돕자는 운동과 기부인증 릴레이도 활발히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말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에도 온라인상에서 고향사랑기부 캠페인이 전개되며 무안군에 이틀 만에 10억 원이 모금된 바 있다.
한편, 행안부는 올해부터 특별재난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할 때 세액공제 비율이 확대 적용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고향사랑기부시 10만원 이하는 100% 세액이 공제되고, 10만원 초과분부터는 16.5%의 공제 비율이 적용됐다.
하지만 이번 달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이 시행되면서 특별재난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하는 경우 1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 기존보다 2배 높아진 33%의 세액공제 비율이 적용된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현재 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이 입법예고 중으로, 개정안에 따르면 상향된 세액공제 비율은 특별재난지역 선포 후 3개월간 적용된다. 시행령 개정 전이라도 올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에는 모두 소급 적용된다.
김민재 차관보는 “고향사랑기부로 산불피해 지역에 힘을 보태주고 계신 국민께 감사드린다”라며, “정부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빠르게 일상을 회복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