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속보] ‘윤석열 파면’ 환경단체 환영 “핵 폭주·생태계 파괴·기후위기 가속화 막았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속보] ‘윤석열 파면’ 환경단체 환영 “핵 폭주·생태계 파괴·기후위기 가속화 막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4일 오전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시민들이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 4일 오전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시민들이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자 환경단체들은 “정부의 핵 폭주와 생태계 파괴를 중단했다”며 환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4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의 무도한 계엄령과 위헌적 폭거에 맞선 시민들의 평화적 저항이 마침내 봄을 불러왔다”며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파괴함은 물론 핵 폭주와 생태계 파괴, 기후 위기 가속화로 시민의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윤석열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다”고 전했다.

이어 “윤석열의 파면만으로 우리가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는다”며 “자연과 동물과 공존하는 생명의 나라로, 전쟁도 재난도 없는 평화의 나라로 나아가야만 윤석열로 표상되는 위기와 폭력의 시대를 완전히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녹색연합은 이날 성명을 통해 “주권자의 뜻과 헌정질서가 존중된 마땅한 심판”이라며 “생명이 존중되고 생태가 순환하며 평화와 녹색의 정치가 구현되도록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탈핵시민행동도 이날 “윤 전 대통령의 핵발전 중심의 정책은 기후 위기에 대응해 화력발전과 핵발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역행하는 퇴행적 조치였다”며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넘어, 낡은 에너지 정책을 포함한 그의 모든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멈췄던 기후 위기 대응의 시계가 다시 돌아갈 기회가 생겼다”며 “다음 대선에서 모든 후보는 기후생태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산업, 에너지, 생활, 돌봄 분야에서 대안을 놓고 토론하는 시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