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태조 이성계와 억새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태조 이성계와 억새

한식(寒食)인 지난 5일, 경기 구리 동구릉 내 태조 이성계의 능인 건원릉에서 국가유산청이 ‘청완 예초의’를 거행했다. 봉분에 자라는 억새(청완)를 잘라주는 행사다. 건원릉 봉분에는 태조 이성계의 유교(遺敎)에 따라 억새를 심었다. 억새가 다른 풀보다 크게 자라니 내막을 잘 모르는 사람은 능을 관리하지 않아 풀이 무성한 걸로 오해하기도 한다. 능침(陵寢·임금이나 왕후의 무덤)은 사초 작업도 중요하지만, 산불 관리가 가장 중대한 일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에도 매년 봄철이면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는데, 왕의 무덤도 예외는 아니었다. 선조 때에는 산불로 동구릉 문종의 현릉이 불탔다. 그날은 마침 한식날이어서 제례 준비를 하던 중에 불이 났다. 당시 현릉 참봉 정덕장은 “오늘 신시(申時)에 신주(神廚·제사 음식을 준비하는 수라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두 능의 사초가 모두 타고 바람이 세차 아직도 불이 꺼지지 않았는데, 건원릉은 연소되지 않았습니다… 금화군(禁火軍)을 속히 발송하소서”(<선조실록> 선조 29년 3월8일)라고 급히 조정에 알렸다.

현릉은 건원릉 바로 아래에 있는 능이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침 코앞까지 불이 번졌으니 능참봉이었던 정덕장은 얼마나 가슴을 졸였겠는가. 산불이 능침으로 번지지 않도록 나무와 풀들을 제거한 화소(火巢)를 두었어도 속수무책이었다. 자칫 건원릉에도 옮겨붙을 수 있는 상황이라 금화군을 요청하는 전갈이 화급함을 알려준다. 세종 때 지금의 소방청에 해당하는 금화도감을 설치하고 소방대원인 금화군을 배치했다.

산불은 예나 지금이나 큰 재난이다. 조선시대 최대의 산불 피해는 순조 4년(1804)에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민가 2600호, 사찰 6곳에다 각종 곡식과 선박 등이 불타고 사망자가 61명에 달했다. 조선시대 산불 발생은 총 63건으로 기록되었다. 그중 통천·고성·양양·강릉·삼척 등 강원도 동해안 지역이 31건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경남과 경북이었으며, 특히 4~5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강영호·김동현 <조선시대 산불>). 근래의 산불 상황도 예전과 유사하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가 지구열대화로 바뀌면서 산불 발생 빈도도 높아졌다.

이번 산불을 진화하는 데 산림청과 소방청의 노고가 무척 컸다. 화재 진압에 나섰던 대원들이 목숨까지 잃게 되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분들의 노고에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