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의민족 오토바이 모습. 연합뉴스
배달의민족 라이더들이 사측이 일방적으로 배달료를 삭감했다며 새 배달료 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배달료 삭감으로 수입을 충당하기 위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릴 수밖에 없고 위험하게 운행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는 10일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배민은 즉각 배달료 삭감 정책을 철회하라”고 했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1일부터 전국에 변경된 배달료 정책을 시행했다. 기본 배달료는 3000원에서 2500원으로 깎였다. 경기·인천은 2300원, 비수도권은 2200원까지 떨어졌다. 기본 배달료가 적용되는 거리 기준은 675m에서 1400m로 늘어났다. 1400m 이후부턴 10m당 10원이 붙는다. 우천 배달시 붙는 기상할증은 1000원에서 500원으로 줄었다. 식당 한 곳만 배달하는 한집배달과 여러 곳을 함께 픽업해 배달하는 알뜰배달 사이 배달료는 같아졌다.
김정훈 배달플랫폼노조 배달의민족분과장은 “한집배달은 시간당 배달 건수가 적을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에게 알뜰배달보다 1000원 더 청구하면서 라이더에겐 동일한 비용을 책정하는 건 명백한 노동착취”라고 말했다. 김 분과장은 라이더가 근로기준법상 노동자가 아니라 적정임금을 보장받지 못하고 배달의민족이 일방적으로 배달료를 삭감한다며 비판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서울 송파구에서 배달의민족 라이더로 4년째 일하는 A씨는 “오늘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시30분까지 일했는데 3만1000원을 벌었다. 문정동에서 위례로 배달하는 건이 보통 4000원 이상이었는데 지금은 3000원대에 불과하다”며 “이전에는 8시간 일하면 15만원 정도 벌었는데 지금은 10만원도 벌기 어렵다”고 했다.
노조는 배달료 삭감이 장시간 노동을 부추기고 안전 운행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노조가 지난 2~9일 조합원 200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92%가 배달료 정책 변경 후 배달료 수입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배달 건수가 줄었다는 응답은 69%, 배달 거리가 더 길어졌다는 응답은 77%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