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1만명 넘었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1만명 넘었다

10명 중 8명이 10·20대

지난해 정부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을 받은 피해자가 1만명을 넘었다. 10명 중 8명이 10·20대였다. 딥페이크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는 전년보다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여성가족부가 10일 공개한 ‘2024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서 상담, 삭제 지원, 수사·법률·의료 지원 연계 등 지원을 받은 피해자는 1만305명으로 전년보다 14.7% 늘었다. 2018년 센터 출범 이래 피해자가 가장 많았다. 피해 영상물 삭제 지원 건수도 처음으로 30만건을 넘었다.

연령별로 보면 10대 피해 지원 비중이 2022년 17.8%에서 지난해 27.9%로, 20대는 18.2%에서 50.2%로 증가했다. 여가부는 “피해 신고를 망설이는 10대가 많다”며 실제 10대 피해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학교에서 대규모 딥페이크 범죄가 발생하며 피해가 늘었다. 지난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는 1384건으로 2023년(423건) 대비 227.2% 증가했다. 특히 딥페이크 피해자의 92.6%가 10·20대였다. 불법촬영 피해도 2023년 2927건에서 지난해 4182건으로 늘었다. 여가부는 손쉽게 이용 가능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많이 개발되면서 초등학생의 딥페이크 피해가 크다고 했다.

딥페이크를 이용한 범죄가 늘면서 가해자가 ‘모르는 사람’인 경우도 2727건으로 집계 이래 가장 많았다. 피해자 대다수는 ‘여성’이다.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72.1%가 여성이었다. 불법촬영물 등의 유포로 인한 피해는 여성이 2414건(83.5%)으로 남성 476건(16.5%)의 5배 이상이었다. 딥페이크 피해자의 96.6%는 여성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