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청약 수요는 수도권에만 쏠리는데···분양 물량은 지방에 집중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청약 수요는 수도권에만 쏠리는데···분양 물량은 지방에 집중

입력 2025.04.14 14:20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소재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한 가운데 지난달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권도현 기자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소재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한 가운데 지난달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권도현 기자

지난해부터 올해 1분기까지 전국 분양 아파트 절반 이상이 비수도권 지역에 몰렸지만, 청약 경쟁률은 수도권이 지방의 10배 이상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가 쏠린 수도권 분양 물량은 올해 들어 70%가량 급감하면서 ‘공급 절벽’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가 14일 내놓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부터 올해 1분기까지 전국 분양 아파트 단지 308개 중 53.6%인 165개 단지가 비수도권 지역에서 분양됐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비중은 46.4%(143개 단지)였다.

분양 아파트에 입주하기 위한 평균 청약경쟁률은 수도권이 71.4대 1로, 비수도권 7대 1보다 10배 이상 치열했다.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의 청약 열기가 가장 뜨거웠다. 서울 경쟁률이 176.1대 1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가 29.7대 1, 인천 7.7대 1 순이었다.

지난해부터 올해 1분기까지 평균 청약경쟁률을 기준으로 전국 상위 20개 단지를 분석한 결과 서울 소재 분양 단지가 15곳에 달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성남시의 판교테크노밸리 중흥S-클래스(1110.3대 1)였지만, 그 뒤로는 서울 강남구의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1025.6대 1)·청담르엘(667.3대 1) 등 서울 소재 단지가 줄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광역 대도시의 청약경쟁률이 중소도시보다 낮았다. 평균 청약경쟁률을 보면 지방광역시가 3.2대 1로, 지방 중소도시(9.2대 1)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미분양 물량이 상대적으로 광역시에 집중 되어있어 신규 분양물량이 시장에 공급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앙 수요가 수도권에 쏠렸지만, 수도권 분양 물량은 올해 들어 급감했다. 올해 1분기 기준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은 총 62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9.8%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같은 기간 74.5% 감소한 1097가구, 경기도가 57.3% 감소한 4876가구, 인천이 94.8% 감소한 252가구 분양됐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미국 고물가 장기화 우려, 정치 변수 등 외생변수로 불확실한 시장환경이 지속되면서 ‘똘똘한 한 채’ 등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수도권 분양시장으로의 쏠림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며 “정책적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맞물려 봄 분양 성수기임에도 분양시장은 잠정 휴업상태를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