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조금 빗나가도 괜찮아, 저기 빛나는 ‘홈’이 있잖아…광주 발달장애인 야구단 E.T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지난달 29일 광주 광산구 광산어린이야구장에서 열린 E.T 야구단과 광주동구유소년야구단의 경기 시작 전 E.T 야구단의 서지원, 김철수, 권지유, 이승윤 선수(앞에서부터)가 달리기로 몸을 풀고 있다.

조금 빗나가도 괜찮아, 저기 빛나는 ‘홈’이 있잖아…광주 발달장애인 야구단 E.T

지난달 29일 광주 광산구 광산어린이야구장에서 열린 E.T 야구단과 광주동구유소년야구단의 경기 시작 전 E.T 야구단의 서지원, 김철수, 권지유, 이승윤 선수(앞에서부터)가 달리기로 몸을 풀고 있다.

지난달 29일 광주 광산구 광산어린이야구장에서 열린 E.T 야구단과 광주동구유소년야구단의 경기 시작 전 E.T 야구단의 서지원, 김철수, 권지유, 이승윤 선수(앞에서부터)가 달리기로 몸을 풀고 있다.

발달장애인 승윤이는 자신의 표현대로 “승부욕이 활활 타오르는 사나이”다. 야구 시합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승윤이는 집에서 태권도 학원까지 걸어가는 15분 동안 “내일은 아웃당하지 않고 안타를 치겠다”라고 연거푸 말했다. 날씨가 좋다는 말에 “이제 가을이 왔다”고 동문서답하다가도 “내일은 진짜 안타 치려고요” 하며 금세 다시 결연해졌다.

이승윤군(14)이 속해있는 ‘E.T(East Tigers) 야구단’은 발달장애인 청소년으로 구성된 야구단이다. 2016년 기업 후원 사업으로 광주광역시 동구 장애인복지관이 운영을 시작했다. 후원 사업이 종료되며 해체 위기에 놓였지만 고향사랑기부제 기금을 지원받아 활동을 이어가게 됐다. 올해도 훈련비 마련과 연습장 건립을 위해 고향사랑기부제 지정 기부를 받고 있다.

공 던지기 연습을 하기 위해 고민석, 이승윤, 이찬민 선수(왼쪽부터)가 카트에서 공을 하나씩 꺼내고 있다.

공 던지기 연습을 하기 위해 고민석, 이승윤, 이찬민 선수(왼쪽부터)가 카트에서 공을 하나씩 꺼내고 있다.

박시형, 박재현, 김민성, 고민석 선수가 공 던지기 연습을 하고 있다.

박시형, 박재현, 김민성, 고민석 선수가 공 던지기 연습을 하고 있다.

공을 던져 세워져 있는 야구 배트를 맞히는 훈련을 하고 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인원을 나누어 훈련을 진행했다.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아이들도 어느 쪽 배트가 먼저 쓰러질지 집중해 지켜보고 있다.

공을 던져 세워져 있는 야구 배트를 맞히는 훈련을 하고 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인원을 나누어 훈련을 진행했다.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아이들도 어느 쪽 배트가 먼저 쓰러질지 집중해 지켜보고 있다.

지난달 29일 광주동구유소년 야구단과의 시합이 있었다. 오랜만의 시합이라 너른 운동장이 어색했다. 빨간색 유니폼을 맞춰 입은 아이들은 초록 잔디와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몸을 풀었다. 긴장한 손은 공을 자꾸 놓쳤고, 머리는 게임의 규칙을 자꾸 잊었다. 투수, 타자 나누지 않고 모두 한 번씩은 공을 던지고 타석에 설 수 있게 순서가 짜였다.

경기에 앞서 몸풀기 캐치볼을 하던 박재현 선수가 공을 놓치고 있다.

경기에 앞서 몸풀기 캐치볼을 하던 박재현 선수가 공을 놓치고 있다.

타석에 들어선 서지원 선수가 스윙에 실패하고 있다. “투수도 포수도 재미있다”는 서지원 선수는 이날 안타 하나를 쳤다.

타석에 들어선 서지원 선수가 스윙에 실패하고 있다. “투수도 포수도 재미있다”는 서지원 선수는 이날 안타 하나를 쳤다.

이날 경기에서 E.T 야구단은 8점 정도 실점, 6점 정도 득점했다. 임방현 감독은 “실점과 득점을 잘 세지 않는다”며 “승부보다는 시합해야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을 얻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날 경기에서 E.T 야구단은 8점 정도 실점, 6점 정도 득점했다. 임방현 감독은 “실점과 득점을 잘 세지 않는다”며 “승부보다는 시합해야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을 얻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두 시간의 연습이 끝나고 선수들이 둥글게 모여 감독님의 말씀을 듣고 있다. 선수들은 일주일에 한 번, 토요일에 만나 훈련한다.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두 시간의 연습이 끝나고 선수들이 둥글게 모여 감독님의 말씀을 듣고 있다. 선수들은 일주일에 한 번, 토요일에 만나 훈련한다.

공을 멀뚱멀뚱 보기만 하다 놓치기도, 배트 한 번 휘둘러 보지 못하고 퇴장하기도 했지만 괜찮았다. 아웃당하고 아쉬워하며 들어오는 선수에게 “괜찮아, 즐기면서 하면 되지”라고 큰 소리로 서로를 북돋웠다. 안타를 치면 줄 서서 하이파이브를 했다. 타석에 서지 못할 때도 더그아웃 네트에 꼭 붙어 경기를 지켜봤다. 넓은 그라운드에서 아이들은 던지고, 휘두르고, 뛰었다. 김철수군(15)은 “공을 기다릴 때 떨렸는데, 뛸 때는 짜릿했다”며 “땅볼로 진루해서 살짝 아쉽지만 다음에는 더 만족스러운 경기를 하고 싶다”고 했다. 아이들은 몇 대 몇으로 이기고 졌는지보다는 자신이 얼마나 잘했는지에 대해 힘주어 말했다.

공 던지기 훈련이 끝나고 네트 앞에는 공이 수북이 쌓였다. 다른 아이들도 모여 함께 공을 줍고 있다.

공 던지기 훈련이 끝나고 네트 앞에는 공이 수북이 쌓였다. 다른 아이들도 모여 함께 공을 줍고 있다.

연습 중 고민석, 권지유 선수가 대화하고 있다. 권지유 선수는 “공이 날아올 때 떨려서 방망이를 휘두르는 게 가장 어렵다”고 했다.

연습 중 고민석, 권지유 선수가 대화하고 있다. 권지유 선수는 “공이 날아올 때 떨려서 방망이를 휘두르는 게 가장 어렵다”고 했다.

나시혁 선수가 타격 연습을 하고 있다.

나시혁 선수가 타격 연습을 하고 있다.

고영재, 강도훈 선수가 네트에 붙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고영재, 강도훈 선수가 네트에 붙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7년째 야구단을 지도하고 있는 임방현 감독은 “처음에는 아이들이 공을 친 다음에 뛰어야 한다는 걸 몰라서 데리고 같이 뛰기도 했다”고 했다. 임 감독은 “몇년 동안 보다 보니 아이들이 얼마만큼 발전했는지 보인다”며 “저한테는 조금이어도 아이들한테는 엄청나게 큰 성장”이라고 했다. 인사도 안 하고 말을 시켜도 멀뚱멀뚱 쳐다만 보던 아이들은 팀플레이가 기본인 야구를 하며 변했다. 작은 공을 세심하게 컨트롤하는 것, 복잡한 야구 규칙을 익히는 것뿐 아니라 서로 돕는 법을 배웠다. 만나면 인사하기, 연습한 공은 다 같이 줍기, 어려울 때는 물어보고 도와주기….

이승윤 선수가 다니는 태권도 학원에서 순발력을 키우기 위한 공 잡기 훈련을 하고 있다.

이승윤 선수가 다니는 태권도 학원에서 순발력을 키우기 위한 공 잡기 훈련을 하고 있다.

이승윤 선수가 공을 던져 야구 배트를 쓰러트린 후 기뻐하며 세레머니 하고 있다.

이승윤 선수가 공을 던져 야구 배트를 쓰러트린 후 기뻐하며 세레머니 하고 있다.

평소 타인과 교류가 많지 않은 아이들은 야구 유니폼을 입고 있을 때 가장 많이 웃고 떠들썩하다. 공을 던져 야구 배트를 쓰러트리는 훈련은 마치 게임 같았다. 못 맞히면 아쉬워서, 맞히면 신나서 아이들의 목소리도 점점 커졌다. 매주 한 번 아이들은 같은 유니폼을 입고 모인다. 복지관에서 다 함께 버스를 타고 20분 거리의 연습장으로 간다. 줄을 맞춰 뛰고, 쉬는 시간에는 둘러앉아 이야기 나누고, 연습이 끝나면 간식을 먹는다. 다음 달에 있을 시합을 생각하며 어떤 꿈을 같이 꾼다. ‘같은 팀이니까’ 그렇게 한다.

아이들은 왜 야구에 열광할까. 승윤은 야구의 매력이 “짜릿한 홈런”이라고 말했고, 철수는 “역전될 때”라고 했다. 꽤 자주 속수무책으로 지지만 지는 경기에서도 아이들은 배운다. 다음 시합 때는 꼭 안타를 치는 꿈을 꾸며 아이들은 잠이 든다. 자고 일어나면 아이들은 기어이 조금 더 자란다. 엄마 아빠와 친구, 선생님과 이웃들도 아이들과 함께 자란다.

연습 도중 아이들이 서로 껴안으며 웃고 있다.

연습 도중 아이들이 서로 껴안으며 웃고 있다.

야구 시합이 있는 광산구 야구장으로 가기 위해 복지관에 모여 버스를 타고 출발 준비를 하고 있다.

야구 시합이 있는 광산구 야구장으로 가기 위해 복지관에 모여 버스를 타고 출발 준비를 하고 있다.

연습 순서를 기다리던 아이들이 모여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권지유, 김민성, 최종수, 서지원, 강도훈 선수.

연습 순서를 기다리던 아이들이 모여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권지유, 김민성, 최종수, 서지원, 강도훈 선수.

“나도 나올래요”하며 카메라 앞으로 아이들이 하나둘 모였다. 왼쪽부터 박재현, 고영재, 이찬민, 이승윤, 권지유, 김건 선수.

“나도 나올래요”하며 카메라 앞으로 아이들이 하나둘 모였다. 왼쪽부터 박재현, 고영재, 이찬민, 이승윤, 권지유, 김건 선수.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