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박물관, 김씨 추모비 제막
제주 출생, 10대 때부터 물질
울릉도서 90대까지 해녀 생활
제천으로 이주…2020년 별세

충북 제천 지적박물관이 송학면 도화로 개나리추모공원에 세운 제주 출신 최고령 해녀 고 김화순씨의 추모비 모습. 제천시 제공.
바다와는 한참 거리가 있는 내륙지역인 충북 제천에 제주 출신 최고령 해녀 고 김화순씨(1921~2020)의 추모비가 세워져 화제다.
충북 제천 지적박물관은 지난 10일 송학면 도화로 개나리추모공원에 해녀 김화순씨의 추모비를 제막했다고 15일 밝혔다.
김씨의 추모비는 1.7m 높이로 개나리추모공원에 있는 그의 묘소 앞에 세워졌다. 추모비에는 ‘삶의 터전으로 울릉도·독도 바다를 일군 제주 출향 해녀, 제천에 잠들다’라는 글귀가 담겼다.
제주 출신인 김씨는 1921년 제주에서 태어나 10대 때부터 물질을 시작했다. 결혼 뒤 군산과 부산, 속초를 거쳐 1974년 남편과 함께 울릉도로 이주해 해녀 생활을 해왔다. 1982년 김씨는 독도경비 중 순직한 독도경비대 주재원 경위와 권오광 수경의 시신을 인양한 공로로 울릉경찰서로부터 감사장을 받기도 했다. 2005년 남편이 사망한 뒤에도 그는 해녀생활을 계속해 왔고, 90세 때인 2011년 당시 국내 ‘최고령’ 해녀 타이틀을 얻었다.
하지만 건강이 나빠지면서 해녀 생활을 그만뒀고, 2016년 김씨는 큰아들이 있는 충북 제천으로 이주했다. 이후 4년 뒤인 2020년 노환으로 숨졌다.
김씨의 추모비를 세운 이유에 대해 이범관 지적박물관 관장은 “김씨는 독도경비대 대원의 시신을 인양하기 위해 스스로 바다에 뛰어들었다”며 “그의 정신은 평범한 사람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일어섰던 제천의 의병정신을 떠오르게 해 김씨의 추모비를 건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적박물관은 지난해 10월 ‘독도 김화순 해녀 추모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지적박물관과 충북도, 제천시는 청풍호 독도모형 설치, 김화순 해녀 기념관과 등대를 건립하는 등 숭모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