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6·25전쟁 순국한 학도병의 유해, 75년 만에 유족 품으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6·25전쟁 순국한 학도병의 유해, 75년 만에 유족 품으로

입력 2025.04.15 13:56

고(故) 주영진 일병, 학도병으로 참전해

6·25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전해 순국한 고(故) 주영진 일병의 유해. 국방부 제공

6·25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전해 순국한 고(故) 주영진 일병의 유해. 국방부 제공

6·25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전한 지 6일만에 순국한 고(故) 주영진 일병의 유해가 75년 만에 유족 품으로 돌아갔다.

주 일병은 1928년 인천시 강화군에서 5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전북 전주시에서 자란 그는 전북공립중학교에 진학했다. 학교에서 교련 연대장을 맡을 정도로 리더십이 강했다고 한다.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친구들과 함께 남원시까지 걸어가 입대했다. 당시 18세였다.

주 일병은 1950년 8월 대구 제1훈련소에 학도병으로 합류했다. 곧바로 국군 7사단 소속으로 전선에 투입됐고, ‘기계-안강 전투’에서 전사했다. 참전 6일만이었다. 기계-안강 전투는 그해 8월 9일부터 9월 14일까지 경북 포항시 기계면과 경주시 안강읍 일대에서 북한군 12사단의 남진을 막아낸 것을 말한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0년 10월 경주시 안강읍 일대에서 주 일병의 유해를 발굴했다. 국유단은 병적부와 전사자 명부를 통해 2022년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를 확보했다.

국유단은 15일 인천시 강화군에 사는 유족에게 그의 유해와 신원확인 통지서를 전달했다. 조카 주명식씨(76)는 “현충원에 삼촌을 모시게 돼 큰 영광”이라며 “그렇게 고대하던 삼촌의 유해를 찾은 큰 기쁨을 친족들과 나누겠다. 조상님의 한을 풀어드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로써 그동안 발굴된 1만1000여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 중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전사자는 251명이 됐다.

유전자 시료 채취는 전사자의 친·외가 8촌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제공한 유전자로 전사자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유전자 시료 채취 신청은 1577-5625로 하면 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