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으로 돌아오면 생산 비용 최소 두 배 뛰어
“차라리 관세 낮은 다른 국가 이전이 효율적”
노동자 구하기도 어려워···세제, 유인 효과 없어
“트럼프 상호관세는 위헌” 미 중소기업들 소송도

미국 오클랜드 항구에 컨테이너들이 선적돼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목표 중 하나로 제조업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을 내걸었지만, 미국 기업 10곳 중 6곳은 해외 생산시설의 미국 이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 CNBC 방송은 최근 주요 공급망 기업 등에 속한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61%는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하기보다 관세가 낮은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쇼어링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 57%는 ‘비용’을 꼽았다. 제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옮기면 비용이 현재보다 최소 두 배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18%, 두 배 이상으로 뛸 것이란 응답은 47%였다. 또 다른 이유로는 ‘숙련된 노동자를 구하기 어렵다’(21%)는 답변이 많았다. 트럼프 정부는 리쇼어링 기업에 대해 세금 감면을 약속했지만, 제조시설 이전 결정을 고려하는 요인 중 세금은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했다고 CNBC는 전했다.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더라도 자동화 공장을 선호한다는 응답도 81%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는 발언을 이어왔지만, 기업들은 미국으로 복귀하더라도 노동자를 고용하기보다 생산 자동화를 꾀하는 게 낫다는 입장인 것이다.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에 대한 신뢰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1%는 ‘트럼프 정부가 미국 기업을 괴롭히고 있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기업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 관세 외에도 소비자 수요와 원자재 가격, 현 정부의 일관된 전략 부재 등을 꼽기도 했다. 현재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기업의 89%가 주문 취소를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는 답변도 75%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응답자의 63%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올해 미국에 경기 침체가 올 것으로 내다봤다. 그중 51%는 2분기부터 소비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비 지출 감소에 따라 가장 큰 타격을 입을 품목으로는 임의소비재(44%), 가구(19%), 사치품(19%) 등이 꼽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미국 상공회의소, 전미제조업협회, 전미소매업연맹, 미국 의류·신발협회, 미국 신발 유통 및 소매업 협회,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 ITS 로지스틱스 회원사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관세로 피해를 본 일부 중소기업들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가 법적 근거 없는 불법이라며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비영리기구 자유정의센터는 관세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 5곳을 대표해 미국국제무역법원(CIT)에 제출한 소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은 위헌이라고 주장했다.
이 기업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가 필요한 이유로 제시한 비상사태는 “트럼프 대통령 상상력의 산물”이라며 “무역적자는 경제에 피해를 주지 않고 수십 년간 계속됐으며 비상사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또 관세에 따른 비용 증가와 수요 감소, 공급망 차질로 인해 생계가 위협받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