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실련 “국회의원 5명 중 1명이 종부세 납부자…‘셀프 완화’ 덕 봤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실련 “국회의원 5명 중 1명이 종부세 납부자…‘셀프 완화’ 덕 봤다”

2023년 완화로 대상자 82명 → 60명

전체 국민 중 종부세 납부자는 1.8%뿐

“셀프 감세 환영 못 받아…공평 과세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1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대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보유 및 종합부동산세 실태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1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대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보유 및 종합부동산세 실태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22대 국회의원 5명 중 1명이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국회의원이 종부세를 ‘셀프 완화’ 했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보유 및 종부세 실태’를 발표하고 “22대 국회의원 전수조사 결과 종부세 감면으로 일반 시민들이 아닌 국회의원 등 고위 공무원이 혜택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경실련 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에서 종부세를 납부하는 22대 국회의원은 조국 전 의원을 제외한 국회의원 299명 중 60명으로 전체 의원의 20%가량이었다.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은 “전체 국민 중 종부세 납부자는 약 1.8%에 불과하지만 국회의원 중 20%가 종부세를 내고 있다”며 “국회의원들이 세제 정책의 수혜자이기 때문에 부자 감세 정책이 이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주택보유현황 통계를 기준으로 국민 2177만 가구 중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39만7000가구(1.82%)다. 경실련은 이를 토대로 “종부세를 내는 국회의원 비율은 일반 국민의 11배”라고 주장했다.

종부세 완화로 혜택을 본 의원이 적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이후 종부세 완화 정책을 이어갔다. 2023년 윤석열 정부는 종부세 기본 공제액을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했고 실거주 1주택자의 기본 공제액도 11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했다. 완화 전 기준을 적용하면 종부세를 내야 하는 의원은 82명인데 기준이 완화되면서 윤석열 정부에서 종부세를 내야 하는 의원은 60명까지 줄었다.

국회의원의 예상세액은 신고 주택가액 대비 0.09% 수준에 불과했다. 이들이 소유한 종부세 대상 주택의 신고가액은 2392억 626만원, 세예상액은 2억3791만원이었다. 조정흔 경실련 토지주택위원장은 “종부세 완화로 실효세율이 떨어지고 있다”며 “자의적으로 세금을 깎아주는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폐지하고 공시지가 반영률을 80% 이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택수 경실련 부동산국책사업팀 부장은 “차기 정부와 국회가 협력해 서민을 위한 공평과세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며“셀프 감세 정책은 환영받을 수 없다”고 했다.

지난 3월 기준 국회의원들의 부동산 재산의 평균은 약 19억5289만원이었다. 부동산 재산 상위 10명에는 더불어민주당 박정·김기표·이언주 의원, 국민의힘 박덕흠·김은혜·서명옥·백종헌·정점식·김기현·고동진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