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올해 성장률 1.2% 전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올해 성장률 1.2%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한국 25%) 발효를 하루 앞둔 지난 8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한국 25%) 발효를 하루 앞둔 지난 8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S&P)가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각각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및 미국의 관세 부과에도 대외신인도가 흔들리지 않았다고 본 것이다. 다만 미국 관세 부과 등의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은 1.2%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이날 홈페이지에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과 같은 AA로 발표했다. 향후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했다. S&P는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올린 후 이를 유지하고 있다.

S&P는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 선포로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다소 손상됐으나, 신속한 계엄령 철회와 대응으로 악영향이 완화됐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 선거일 확정까지 법 절차가 적절히 지켜지면서 사회적·경제적 안정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았다”면서 “정책기관의 적극적 정책 대응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S&P는 “최근 확대된 정치적 분열이 지속될 경우, 차기 정부의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고”고 지적했다.

S&P는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2.0%)에서 0.8%포인트 낮아졌다. 내년 성장률은 2.0%로 전망했다. S&P는 2028년까지 한국 경제가 연평균 약 2.0%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S&P는 “향후 3~5년 동안 한국 경제가 다소 둔화되겠지만 대부분 고소득 국가들보다 높은 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P는 향후 신용등급 상·하방 주요 요인으로 북한과의 관계를 꼽았다. S&P는 북한 관련 안보 및 우발 채무 리스크가 해소되거나, 북한이 예상치 못한 경제적 자유화를 추진할 경우 신용등급 상향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북한 관련 긴장이 고조될 경우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S&P는 또 올해와 내년 미국 관세에 따른 수출 영향 및 세계 경제 둔화가 세입 부문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해 건정재정 기조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S&P는 양호한 순대외자산과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신용등급 평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기획재정부는 국내 정치상황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번 국가신용등급 유지 결정이 대외신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기재부는 “향후에도 국제 신용평가사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우리 경제 상황 및 정책 방향을 적극 설명하는 등 대외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