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반복되는 ‘소나무’ 산불 논쟁 소모적…“이번 산불은 자연 재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반복되는 ‘소나무’ 산불 논쟁 소모적…“이번 산불은 자연 재해”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가 15일 서울 마포구의 한 공원에서 경향신문과 산불 피해 복구와 관련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가 15일 서울 마포구의 한 공원에서 경향신문과 산불 피해 복구와 관련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경남·경북 일대를 휩쓴 산불은 한국 산림의 특성, 취약한 산불 대응 인프라 등 여러 과제를 남겼다. 특히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소나무림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바람에 산불이 급속히 퍼졌다는 일부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환경생태학자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무조건 자연으로 두기 보다는 활엽수가 잘 자라는 곳은 활엽수를 심고, 소나무가 잘 자라는 곳은 소나무를 심는,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은 일종의 현실론에 가깝다.

지난 15일 서울 합정동에서 만난 오 교수는 소나무가 이번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소나무가 잘 타는 건 명약관화하다. 소나무(침엽수)가 활엽수에 보다 불에 취약한 것도 사실”이라며 “다만 소나무는 상대적으로 척박한 곳에도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능선에서 많이 자라는데, 소나무가 있는 능선은 바람이 더 심하게 불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타고 불씨가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기 쉽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소나무를 피해서 심으면 되는 것이 아닐까. 그는 “설악산, 북한산 국립공원도 계곡부는 참나무, 능선부는 소나무가 주를 이루는데, 그 토양의 성질이 소나무만을 허용하기 때문”이라며 “나무가 자라는 환경, 땅의 특성을 거스르면서 인위적으로 수종을 골라 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산불이 사람의 실수 탓에 시작됐지만, 그 피해가 커진 것은 ‘자연재해’의 성격에 가깝다고 했다. 오 교수는 “대부분 산불은 사람 때문에 생긴다. 이번 산불도 실화로 촉발됐으니 인재로 볼 수 있다”면서 “다만 대형 산불로 번진 이유 역시 사람 때문이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 확산은 겨울 가뭄과 이상 고온, 강풍이 맞물려 커졌다. 특히 경북 지역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졌다. 그는 “가뭄과 고온, 강풍은 인간이 조절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번 산불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 재해에 가깝다”고 했다.

특히 정부가 숲 가꾸기 사업으로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만 남긴 것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환경 전문가들은 불에 강하고 키 작은 나무들을 베어내는 산림청의 ‘숲 가꾸기’ 사업이 오히려 ‘불 폭탄’을 만든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산림청이 인위적으로 개입해 벌목과 사방댐 조성 등을 통해 산림을 초토화시키는 것을 멈추고 숲을 자연에게 맡겨둬야 한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정부 뜻대로 산림을 복원하려면 대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산주들의 뜻을 거슬러 산림을 조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산주가 산에 심은 나무로 경제적 혜택을 보지 못하게 됐다면,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서 경제성을 보장해줘야 한다”면서 “실제로 지원 제도가 있는데, 예산이 부족해 운용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보유세를 내는 산주에게 보상을 해주면서 정부가 원하는 조림 방향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오 교수는 “100% 자연복원한다면 얼마나 좋겠나. 하지만 한국의 산림은 마을이나 농경지와 가까운 곳이 많아 산사태 등의 2차 피해 우려가 있어 자연 복원이 어렵다”고 했다. 그는 “그런 곳은 재해로 간주하고 인위적인 개입을 통한 복구를 해야한다. 국내 국립공원도 가급적 인위적인 개입 안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북한산 국립공원처럼 민가가 가까이 있으면 개입이 불가피하다”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활엽수가 잘 자라는 곳은 활엽수를 심고, 소나무가 잘 자라는 곳은 소나무를 심어야 한다. 산림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