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경기도 지사가 15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대선 경선후보 등록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김동연 경기지사가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 이어 행정수도의 세종 이전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들은 구체적인 개헌 추진 구상도 밝혔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는 두 사안에 구체적 구상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비이재명(비명)계로 분류되는 두 후보가 이 전 대표와의 차별화 행보를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15일 오후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당선이 된다면 집무 첫날 바로 세종으로 내려가겠다”며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수도를 세종을 중심으로 만드는 것을 바로 실천에 옮길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경수 전 지사도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는 등 ‘행정수도의 세종시 완전 이전’ 방침을 거듭 밝히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과 세종 두 곳에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4일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용산 대통령실은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출마와 함께 세종 이전을 강조하고 나선 데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방침을 환기하면서 친노무현·친문재인계 정체성을 강조하려는 뜻이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5일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사에서 당 경선 후보자로 등록한 뒤 소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두 사람은 개헌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총선과 대선의 선거 주기를 맞추고자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추진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김 전 지사는 내년에 열리는 지방선거에서 개헌을 성사하겠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그는 지난 13일 출마 기자회견에서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며 “내란 종식의 완성은 개헌이지만 개헌 논의가 내란 세력의 책임 면피 수단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비명계 주자들이 개헌과 세종 행정수도 이전을 강조하는 데는 ‘이재명 대세론’에 공약 차별화로 대응하면서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 전 대표가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한 구체적 상을 밝히기 전에 적극적으로 나서 이슈를 선점하려는 뜻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후 개헌과 행정수도 이전 등을 두고 구체적 구상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민주당 일부에서는 ‘2김’ 후보들이 주장하는 ‘취임 직후 집무실 세종 이전’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평가가 나왔다. 친이재명(친명)계로 분류되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에 출연해 “행정부의 기능을 세종으로 옮기는 것은 그렇게 가야 한다고 생각은 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현실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