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탈원전’ 꼬리표 떼는 민주당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탈원전’ 꼬리표 떼는 민주당

탈석탄 기조와 양립 어려워

대선 ‘이념 논쟁’ 소재 차단

더불어민주당이 ‘탈원전’ 꼬리표 떼기에 나섰다. 대선을 앞두고 보수 진영의 단골 공격 대상인 탈원전과 거리를 둬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이념 논쟁을 최소화하려는 행보로 보인다.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로선 문재인 정부와의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는 분야라는 점에서 원전 기술 개발이 최종 공약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 미래성장전략위원회와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는 15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원전산업 종사자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소형모듈원자로(SMR), 초소형모듈원자로(MMR), 핵융합 등 차세대 핵에너지 기술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미래성장전략위원장인 이언주 최고위원은 “차세대 핵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발 빠르게 움직여서 원천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인 황정아 의원도 “글로벌 에너지 강국 도약을 위한 전략적인 관점을 고려해 회복과 성장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원전 기술 강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선 결국 ‘탈석탄’ 기조로 가야 한다”며 “탄소중립을 주장하면서 ‘탈원전’을 얘기하는 것은 논리 모순”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가 대선 공약으로 발표한 국가 인공지능(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급하기 위해서라도 원전은 필수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 지도부 한 의원은 “이 전 대표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최소 5만개를 확보하겠다고 했는데 이를 실전에서 활용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간다”며 “재생에너지만으론 이 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렵다. 원전을 늘리면 늘렸지, 줄이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에너지믹스’가 전 세계 화두로 떠오른 상황에서 탈원전이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있다.

당내에선 이미 탈원전 기조 탈피가 정무적으로도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이라는 용어 자체가 소모적 이념 논쟁을 불러 친원전 진영과 탈원전 진영 모두에 불만을 샀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