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엔비디아 “미국에서 AI 슈퍼컴 생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엔비디아 “미국에서 AI 슈퍼컴 생산”

트럼프 정책기조 부응…4년간 700조원 투자, 자국 내 인프라 구축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향후 4년간 협력사들과 함께 최대 5000억달러(약 71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미국에서 생산할 계획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관세를 무기로 자국 내 생산 확대를 요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정책 기조에 부응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이날 블로그를 통해 “제조 파트너들과 협력해 처음으로 미국 내에서만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를 생산할 공장을 설계하고 건설하고 있다”고 알렸다.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와 폭스콘, 위스트론, 앰코테크놀로지, 실리콘웨어정밀산업과 손잡고 AI 인프라 생산에 나선다.

엔비디아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있는 TSMC 공장에서 자사의 최신 AI 칩 ‘블랙웰’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텍사스주에서는 폭스콘·위스트론과 슈퍼컴퓨터 제조 공장을 짓고 있고,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했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AI 인프라의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내 생산을 추가함으로써 빠르게 증가하는 AI 칩과 슈퍼컴퓨터 수요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5000억달러 수치에 대해 “엔비디아가 AI 공급망에 판매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제품의 총합 가치를 의미한다”고 전했다. 해당 수치가 과장됐을 수 있다는 얘기다. 애플 등 다른 기술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발표와 마찬가지로, 엔비디아의 계획에도 이미 진행 중이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이를 활용한 전자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도 일부 기업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백악관은 엔비디아의 발표에 대해 “트럼프 효과가 실제로 나타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관세가 없었다면 엔비디아는 이렇게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거대 기술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도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날 또 다른 팹리스 기업인 AMD는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를 애리조나 TSMC 공장의 2나노 공정으로 생산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