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하버드 면세지위 박탈” 위협에도···예일대·컬럼비아대 확산되는 ‘반발 기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하버드 면세지위 박탈” 위협에도···예일대·컬럼비아대 확산되는 ‘반발 기류’

다양성 정책 중단·학술 프로그램 개편 등 요구

트럼프, SNS서 “정치 단체로 과세 대상 될 수도”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미국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대의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다. 정부와 하버드대의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예일대·컬럼비아대에서도 연방정부 보조금을 볼모로 한 트럼프 정부의 ‘대학 길들이기’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하버드대가 계속해서 정치적, 이념적이며 테러리스트에게 영감을 받거나 그들을 지지하는 ‘병적’ 행동을 조장한다면 면세 지위를 잃고 정치 단체로서 과세 대상이 되어야 할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익을 위해 행동하는 데 달려있다는 것을 기억하라”고 적었다.

하버드대는 전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경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한 22억달러(약 3조원) 보조금과 6000만달러 계약을 동결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반유대주의’ 확산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하버드대 입학 및 채용 과정에서 다양성 프로그램 중단, 정부가 반유대주의 기록이 있다고 지적한 학술 프로그램 개편 등을 요구했다. 이는 대학 운영 방식과 학생 및 교수 선발 과정에 대해 연방정부의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조치로 해석됐다. 이에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대학은 독립성을 포기하거나 헌법상 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하버드를 비롯한 어떤 사립대학도 연방 정부의 지배를 허용해선 안 된다”며 요구 사항을 거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정부 요구안을 거부한 하버드에 대해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SNS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트루스소셜 캡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정부 요구안을 거부한 하버드에 대해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SNS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트루스소셜 캡처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하버드대와 관련해 대통령은 그들이 연방 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왔다”라면서 “그는 하버드대가 자신들의 캠퍼스에서 유대계 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벌어진 끔찍한 반유대주의에 대해 사과를 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하버드대가 트럼프 행정부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다른 아이비리그(미 동부 명문 사립대) 대학들도 정부 통제에 반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예일대 교수진 876명은 이날 대학 이사회 등에 트럼프 행정부에 맞서달라고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우리는 갈림길에 서 있다. 미국 대학들은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학문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사회의 기본 원칙을 위협하는 심각한 공격에 직면해 있다. 지금 우리와 함께해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대학과 협력해 (정부 통제) 사전 예방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로 트럼프 행정부의 집중 공격을 받은 뒤 총장이 교체되고 정부 요구를 일부 수용해 비판에 직면했던 컬럼비아대에서도 기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대행은 가버 하버드대 총장의 성명을 “큰 관심을 갖고 읽었다”며 “우리 교육 기관에 잠재적으로 피해를 입히고 유용한 개혁을 저해할 수 있는 정부의 강압적 조처를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누구를 고용할지” 지시하는 어떤 합의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컬럼비아대는 트럼프 행정부가 4억달러(약 5700억원) 규모의 연방 보조금 및 계약을 취소하자 지난달 중동·아프리카 전공 학과에 대한 외부 감독, 교내에 체포 권한을 가진 보안요원 배치 등 정부 요구안을 일부 수용했다.

조너선 레빈 스탠퍼드대 총장과 제니 마르티네스 교무처장도 하버드대에 대한 지지를 밝히며 “대학들은 정당한 비판에 겸손과 개방적 태도로 대처해야 한다. 그러나 건설적인 변화를 가져올 방법은 국가의 과학 연구 역량을 파괴하거나 정부가 민간 기관을 장악하는 방식은 아니”라고 말했다. 전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총장 샐리 콘블루스는 “최고 인재들을 잃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앞으로 수년간 미국의 경쟁력과 과학적 리더십을 손상시킬 것”이라며 정부의 보조금 중단 결정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닫기
닫기
닫기